데이터 분석가, 꼬젯의 블로그를 다시 들고왔습니다. 이번에는 <데이터를 보는 사람에게 추천하는 교양서> 입니다. 데이터 업무를 이제 막 시작하셨거나, 데이터 분석가를 목표로 공부를 하시는 분들이 생각보다 앞으로 어떻게 자기개발을 해야할지 막막해 하시더라구요. 인터넷에 정보들은 흩어져있고, 직장상사는 멘토가 되어주기에는 항상 바빠보이고요. 그럴때 책에 살짝 기대보는 것은 어떤가요. <새빨간 거짓말, 통계>, <팩트풀니스> 등 주옥같은 데이터 교양 서적들이 소개되어 있습니다. 몇 권 추천을 더해볼게요. - 그로스 해킹 분석 방법의 기초를 알고 싶으신 분은 <린 분석> - 조건부 확률이 뭔지 이해하고 싶은 분들에게는 <세상에서 가장 쉬운 베이즈통계학 입문> - 평균, 분산, 분포 등 기초 통계학 용어와 친해지고 싶은 분들에게는 <세상에서 가장 쉬운 통계학 입문> 혼자 하는 SQL 공부가 막막하다면 데이터리안의 인프런 강의를 찾아주세요 :) 좀 뜬금없이 강의 광고로 끝내게 되네요. 데이터리안의 강의에도 많관부!

데이터를 보는 사람에게 추천하는 교양서

Cojette의 Data Wonderland

데이터를 보는 사람에게 추천하는 교양서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2월 14일 오전 3:30

댓글 2

함께 읽은 게시물

< ‘기회’는 늘 ‘문제’로 가장해서 나타난다 >

1. 문제를 일으킬 때 했던 것과 같은 생각으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 더 보기

< 진보는 조용히 오고, 파괴는 시끄럽게 온다 >

1. 문제는 고쳐지고 사람들은 적응한다. 위협이 크면 해결책이 나올 동인도 똑같이 커진다.

... 더 보기

퍼스널 브랜딩의 불편한 진실

회사에서 개인의 브랜드를 만든다는 것은 누군가를 불편하게 하는 행위이다.
이게 무슨 말일까?

... 더 보기

품질 높은 프로젝트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

... 더 보기

“품질 높은 프로젝트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F-Lab : 상위 1% 개발자들의 멘토링

“품질 높은 프로젝트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대단한 사람



... 더 보기

정부는 이런 관행이 기관의 단타 매매와 새내기주 가격 하락으로 이어진다고 보고 의무 보유 확약 물량이 40%(올해는 30%)에 미치지 못하면 주관 증권사가 공모주의 1%를 6개월 동안 반드시 보유하도록 했다. 약 20% 수준이었던 의무 보유 확약 비율을 30%대로 끌어올리지 못하면 주관사가 공모주 인수에 따른 리스크를 안게 되는 만큼 부담이 크다.

... 더 보기

셈법 복잡해진 IPO…기관 의무 보유 강화하자 신고서 제출 '0' [시그널]

서울경제

셈법 복잡해진 IPO…기관 의무 보유 강화하자 신고서 제출 '0' [시그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