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세대에서 뜨는 '레이블링 게임'… “요즘 광고는 성격유형 따라 달라”] 📌 레이블링 게임이란 MBTI 테스트처럼 자기 정체성을 특정 유형으로 딱지(레이블) 붙인 뒤, 해당 유형에 맞는 라이프스타일을 알고 이를 동조·추종하는 콘텐츠다. 📌 레이블링 게임의 예시로는 'LG생활활건강'과 ‘방구석 연구소’에서 진행한 ‘첫인상 테스트’가 대표적이다. 유형에 따른 첫인상과 성격을 파악하고 어울리는 향수를 이용자에게 추천하는 방식이다. 📌레이블링 게임의 장점은 자발적인 확산이다. 레이블링 게임 광고는 소비자가 직접 선택해 자신의 정체성을 알아보다 보니 이에 걸맞은 제품 구매 욕구에 대한 설득력이 훨씬 높다. 📌 레이블링 게임의 성공요인으로는 MZ세대의 ‘나’를 알고 싶어 하는 욕구와 펀슈머 특징 때문이다. 이들은 게임을 통해 내가 몰랐던 나를 알 수 있고, 결과를 공유하며 유대감을 쌓고 재미를 느낀다. 📌레이블링 게임의 또다른 성공요인으로는 코로나19 장기화 영향이다. 단체 활동이 줄어 단절된 관계가 많았지만 집에서 쉽게 할 수 있는 레이블링 게임은 타인과 새로운 대화의 소구점을 열어주었기 때문이다. 💡 느낀점 ㄴ 레이블링 게임을 통해 MZ세대에게 친숙하지 않은 기업들이 이를 활용해 관심을 유도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 같다. ㄴ 무수히 많은 레이블링 게임 유형의 테스트가 나오고 있어서 정말 사람들이 '공유하고 싶은' 콘텐츠를 기획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다. 독특하거나 재밌지 않은 테스트들은 전혀 관심조차 받지 못할 것이다. ㄴ 레이블링 게임 결과에 맞는 상품을 재밌는 콘텐츠로 큐레이팅한다면 게임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들을 상품 구매까지 유인할 수 있을 것이다. ㄴ 세계관 마케팅과 이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좀 더 재밌는 콘텐츠가 만들어지지 않을까 생각된다.

MZ세대에서 뜨는 '레이블링 게임'... "요즘 광고는 성격유형 따라 달라"

조선비즈

MZ세대에서 뜨는 '레이블링 게임'... "요즘 광고는 성격유형 따라 달라"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4월 12일 오후 2:37

댓글 1

  • MBTI와 같은 테스트, 레이블링 게임만큼 자발적 참여율이 높은 바이럴전략이 없는 것 같음. 참여뿐만 아니라 친구지인과 직접 공유하며 "너는 뭐야? 너도 해봐"하면서 참여하라고 권유하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