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시장도 마찬가지겠지만 사실 주류시장에서 주도권을 가져오기가 어렵다고 생각한다. 생각보다 사람들의 개인취향이 확고하고 또 그 변화가 쉽지 않은데 앞으로 반격(?)에 나설 다른 기업들의 행보도 궁금해진다 ============================= “어떤 일이건 임계점을 넘느냐가 성공의 관건입니다. 임계점을 넘으려면 사소한 것이라도 디테일과 완성도를 높이는 노력이 습관화돼야 합니다.” 오성택 상무는 ‘끌로 파는 노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제품과 마케팅에서 조금 더 완성도를 높이고, 조금 더 차별화함으로써 승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두 가지 원칙과 세 가지 전략에 기반을 두고 있다. 첫 번째 원칙은 ‘이전의 승리 전략이 다음 싸움에도 통할 것으로 생각하지 말자’이다. 두 번째 원칙은 ‘마케팅을 위한 마케팅은 하지 말자’이다. 이런 원칙들에 근거한 첫 번째 전략은 ‘제품이 곧 마케팅’이다. 소비자의 눈을 속이는 현란한 마케팅만으론 제품이 롱런할 수 없는 만큼 제품 개발부터 진정성을 담자는 것이다. 두 번째 전략은 ‘대중의 눈높이 보다 딱 반스텝 먼저’이다. 너무 과하지 않은, 하지만 평범하지 않은 제품과 마케팅을 위해 대중의 눈높이 보다 딱 반스텝 앞서 가려는 것이다. 세 번째 전략은 ‘디테일과 완성도를 위한 끌로 파는 노력’이다. 브랜드의 성공과 실패는 한 끗 차이로 결정되고 그 한 끗 차이를 만드는 힘은 ‘끌로 파는 노력’”이다.

하이트진로, '끌로 파는' 마케팅이 빅히트 원동력

한국경제

하이트진로, '끌로 파는' 마케팅이 빅히트 원동력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4월 12일 오후 2:41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