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프로덕트의 활성 사용자는 몇 명이더라?] MAU, WAU, DAU 라는 용어를 다들 많이 들어보셨을 텐데요, 이런 지표는 어디에서 누가 확인할 수 있는 걸까요? 내부 데이터를 매일 보는 데이터 분석가가 아니라면 직접 확인할 방법은 없을까요? 적어도 포스타입에서는 그렇지 않습니다. 아래 포스타입 팀 글에서는, GA와 빅쿼리를 사용하여 기획자, 마케터들이 확인하는 지표들과 그 방법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포스타입 팀에서는 단순히 활성 사용자(AU) 수치를 확인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이를 Signed-in Active Users (로그인 활성 사용자), Paid Users/Signed-in MAU (로그인 사용자 대비 유료 사용자 비중) 등으로 변형한 지표를 확인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처럼 굳이 '데이터 분석가'가 아니어도 지표를 확인할 방법은 점점 다양해지는데, 그렇다면 데이터 분석가의 역할은 점점 작아지는 걸까요? 저는 오히려 분석가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진다고 생각합니다. 포스타입 팀에서도 단순히 활성 사용자만 보지 않고 포스타입에 맞는 심화 지표를 보듯이, 여러 직군과 협업하여 지금 우리 프로덕트에 가장 중요할 지표를 찾는 것부터, 지표의 수치가 변할 때 그 원인을 데이터로 찾아가는 것이 데이터 분석가의 역할일 것입니다. 변화가 빠른 IT 업계에서 각 기업의 프로덕트도 굉장히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발전하고 있습니다. 이런 변화를 기획하는 단계에서부터 현재까지의 유저 행동을 분석하고, 변화 이후의 유저 행동은 어떻게 바뀔지 예측하고, 바뀐 프로덕트에는 어떤 유저가 들어와서 어떤 행동을 하는지, 기존 유저와는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는 일련의 과정이 앞으로 더 중요해질 것입니다. 지금보다 더 많은 프로덕트에서 더 많은 분석가가 다양한 직군과 협업하며 프로덕트를 발전시킬 수 있길 바랍니다 :) 👇 포스타입 팀 블로그 보러가기 👇

기획자와 마케터를 위한 활성 사용자 총정리

기획자와 마케터를 위한 활성 사용자 총정리

기획자와 마케터를 위한 활성 사용자 총정리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4월 19일 오전 10:07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완벽한 계획은 없다, 그런데 왜 계획을 세울까? >

    1. 작전계획이란게 왜 필요한 걸까?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4 • 조회 754


    네이버가 미국 실리콘밸리에 네이버벤처스를 설립한다. 투자를 전문으로 하는 신규 자회사다. 글로벌 인공지능(AI) 기술과 인재를 현지에서 적극 발굴해 네이버의 AI 전략과 시너지를 내겠다는 계획인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 3월 이사회 의장으로 복귀한 이해진 창업자(사진)가 AI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던진 승부수라는 해석이 나온다.

    ... 더 보기

    실리콘밸리에 VC 만드는 네이버…"AI 총력전"

    한국경제

    실리콘밸리에 VC 만드는 네이버…"AI 총력전"

    👕무신사가 마뗑킴 일본 매장을 성공시킨 비결은

    ... 더 보기

    무신사가 마뗑킴 일본 매장을 성공시킨 비결은

    뉴닉

    무신사가 마뗑킴 일본 매장을 성공시킨 비결은

    < '모든 것을 받아들이기'의 진짜 의미 >

    1. 아무것도 기대하지 않으면 현재를 살게 된다.

    ... 더 보기

    < 초동 100만 장, 그런데 팬은 어디 있죠? - 엔터 테크와 데이터로

    1

    ... 더 보기

    대기업 전직 임원이 골프장 캐디가 된 이유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