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으로부터 10년 전, 신경숙 작가의 <엄마를 부탁해>가 영미권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다는 뉴스를 본 기억이 납니다. 여성으로서는 최초로 '맨 아시아 문학상'을 수상하며 화제가 되기도 했었는데요. 이 <엄마를 부탁해>를 해외에 처음으로 소개한 곳의 인터뷰 기사가 있어 소개해보려 합니다. [📚 국내 최초 도서 판권 수출전문 에이전시 'KL매니지먼트'] ➊ 신경숙 <엄마를 부탁해>, 한강 <채식주의자> 등을 프랑스와 미국, 영국에 진출시킨 저작권 수출 전문 에이전시 ➋ 자사에서 출간된 책만을 관리하는 출판사와 달리, 제한 없이 여러 작품들을 취급하며 때에 따라서는 작가들을 직접 매니지먼트 하기도 함 ➌ '한국 문학'이라고 하는 하나의 장르를 띄우는 것이 아닌, 작가 한 명 한 명의 '브랜드 이미지'를 해외에 구축하는 곳 💬 영미 유럽권 vs 아시아권의 차이는? <영미 유럽권> -문학을 체험해 온 역사 자체가 길다 보니 산업적으로도 굉장히 큰 시장이 형성돼 있음, 자연스럽게 일반 대중 독자들의 수준 또한 높은 편 -책을 만드는 편집자들의 수준도 높아, ‘예술성’ 높은 한국 작가들의 작품을 선호 <아시아권> -상대적으로 대중적 서사가 강한 작품들을 선호 -특히 중화권이나 동남아시아권은 드라마, 영화의 원작 작품들이 인기가 많음 💬 베트남 출판시장에서 한국의 위치는? -기본적으로 한국 문학에 대한 베트남 출판 관계자들의 관심이 높음 -김애란 <두근두근 내 인생>, 손원평 <아몬드> 등 국내 유명 작가들의 책은 대부분 출판되었으며, 한국 작가의 작품들을 꾸준히 소개하는 출판사들도 존재 -이전에는 KL매니지먼트에서 먼저 그들이 관심 가질 만한 콘텐츠들을 추천했다면, 요즘은 베트남 쪽에서 적극적으로 문의를 해오는 경우가 많음 -현지에서 정보를 습득하는 속도가 굉장히 빨라져 한국과 베트남의 시차가 점점 줄어드는 중 💬 큐레이터 코멘트 베트남에서 살면서 가장 그리운 것이 바로 '교보문고'와 '지하철'입니다. 돈이 없어도 교보문고에 가면 양질의 책을 읽을 수 있고, 책 한권만 있으면 사람들로 붐비는 지하철에서도 고요히 나만의 세계로 빠질 수 있기 때문이죠. 하지만 베트남에서는 책을 읽는다는 건 어떻게 보면 사치입니다. 주요 교통수단이 오토바이이기 때문에 이동시간에도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고, 책 한 권 값이면 몇 끼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인지 아직도 대부분의 베트남 서적들은 페이퍼백입니다. 이 기사를 보기 전까지는 저도 막연히 '어려운 시장이니 힘들 거야'라고 생각했습니다. 한국 문학에 대해서 이렇게 관심 있는지도 몰랐고요. 하지만 이구용 대표님의 말씀처럼 "이 작가의 책을 내면, 만 명은 사서 읽는다"라는 사례가 베트남에도 생긴다면 상황이 달라질 것 같습니다. 아직 베트남은 책과 관련된 생태계가 비즈니스와 잘 연결되지 못한 상태인데요. 이 시장에서 영향력을 발휘하는 집단(북튜버, 서평단, 굿즈맛집 등)을 먼저 선점한다면 기회를 잡아내는 플레이어가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김영하'와 '한강'을 해외에 소개한 문학 매니지먼트의 다음 관심사는 '베트남'이다

Veyond

'김영하'와 '한강'을 해외에 소개한 문학 매니지먼트의 다음 관심사는 '베트남'이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4월 20일 오전 1:39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돈 쓸어 담는 직장인들의 공통점

    ... 더 보기

    한국 문화가 글로벌하게 인기 있으면 이런 일까지 벌어집니다

    1

    ... 더 보기

    필리핀 외식왕국 '졸리비'는 왜 한국 브랜드만 골라 삼킬까?

    n.news.naver.com

    필리핀 외식왕국 '졸리비'는 왜 한국 브랜드만 골라 삼킬까?

    최고의 차별화 전략, 궁극의 브랜딩이 무엇인지 묻는다면, ‘가장 자기다운 브랜드가 되는 것’이라고 답할 것이다. 자기다움으로 차별화된 브랜드는 아무리 신선하고 새로운 브랜드가 나오더라도 흔들리지 않는다.

    ... 더 보기

    직원 교육을 통해 브랜드 DNA를 구축하다. 브랜드의 영혼을 가진 Brand Avatar

    The Unitas

    직원 교육을 통해 브랜드 DNA를 구축하다. 브랜드의 영혼을 가진 Brand Avatar

    조회 330


    메타, MS, 알파벳의 지난 10년간 연간 해고율 그래프. 최근 빅테크의 대규모 해고가 정말 AI 때문일까요? 그렇다면 크게 감원하는 것이 목적일까요?

    ... 더 보기

    조회 868


    < 트레바리 '오디티 빌더스' 클럽에 초대합니다 >

    1

    ... 더 보기

    피그마는 2024년 한 해 동안 7억4천900만 달러(약 1조180억원) 매출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48% 성장했다. 올 1분기에도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6% 올랐으며 최근 12개월 매출은 8억2천100만 달러(약 1조1천200억원)로 집계됐다. 총이익률은 약 91%다.

    ... 더 보기

    '디자인계 유니콘' 피그마, 재무 정보 첫 공개…IPO 청신호

    zdnet.co.kr

    '디자인계 유니콘' 피그마, 재무 정보 첫 공개…IPO 청신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