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영식님의 프로필 사진

원영식

<풀리지 않는 문제가 고통스러울 때 되뇌이면 좋은 상상> 독일 태생의 수학자 알렉산더 그로텐디크(1928~2014·1966년 필즈상 수상)의 유명한 글을 빌려 답하고 싶다. 그로텐디크는 수학에서의 진보가 일어나는 이미지를 다음처럼 은유했다. 요약하면 이렇다. '이해하고자 하는 대상이 있을 때 대상 주변에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고 있는 것만 같지만 저 멀리서 바다로부터 서서히 물이 차올라 조수간만이 달라져 어느덧 대상 주위를 물이 감싸 결국 대상의 껍질을 스스로 녹인다. 수학의 그렇게 진보를 이룬다.' 그로텐디크의 말처럼, 단단한 껍질의 호두를 한 천재가 망치로 깨부수는 것이 과거 수학이었다면 현대수학은 집단지성으로 껍질을 녹인다. <공기 중에 떠다니는 아이디어를 종이에 옮기는 일> 시와 수학은 여러 면에서 닮았다. 첫째, 공기 중에 떠다니는 아이디어를 종이 위에 고체화 시킨다. 둘째, 읽거나 읽히기가 쉽지 않다. 셋째, 그래서 읽는 사람이 없다(웃음). 수학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음악을 하는 사람이 부러운 이유는 직접적이고 또 누구에게나 소통이 된다는 점 때문이다. 행위로서 시를 쓰거나 수학 증명을 하는 일은 본질적으로 내가 뭔가를 느끼고 본 것을 기록해 공유하고 싶다는 욕망 때문이지 않을까. 수학자도 음악가도 종이에 인식을 적지만 악보와 달리 수학 증명은 연주할 수도 들을 수도 없다.

어릴땐 구구단도 못외운 수포자..30대에 스탠퍼드대 수학 교수됐다

다음뉴스

어릴땐 구구단도 못외운 수포자..30대에 스탠퍼드대 수학 교수됐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5월 9일 오후 12:47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디자인하는 사람이라면 '수단과 목적을 헷갈리지 말자'》

    ... 더 보기

    사용자가 공유한 콘텐츠

    www.folin.co

    사용자가 공유한 콘텐츠

    📢네이버플러스 스토어, 8일 만에 100만 명 모은 비결은

    ... 더 보기

    네이버플러스 스토어, 8일 만에 100만 명 모은 비결은

    www.openads.co.kr

    네이버플러스 스토어, 8일 만에 100만 명 모은 비결은

    < 내 안의 비평가에 맞서는 법: 이름을 붙이고 무시하기 >

    1

    ... 더 보기

    ‘탤런트’를 인재라고 생각하지 말고 그냥 TV드라마 탤런트로 생각해 보자. 주연이든 조연이든 지나가는 사람1,2든…모두 탤런트다. 탤런트만 있으면 드라마가 완성되는가? 그렇지 않다.

    ... 더 보기

    [백진기 칼럼]‘누가 탤런트냐?’(42편)

    메디칼타임즈

    [백진기 칼럼]‘누가 탤런트냐?’(42편)

    뤼튼의 누적 투자 유치액은 약 1300억원으로 분석됐다. 뤼튼에 따르면 거대언어모델(LLM)·반도체가 아닌 AI 서비스 플랫폼 분야 스타트업이 누적 투자액 1000억원을 넘은 것은 처음이다.

    ... 더 보기

    뤼튼, 1080억원 규모 시리즈B 투자 유치

    조선비즈

    뤼튼, 1080억원 규모 시리즈B 투자 유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