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그는 폐결핵 후유증을 안고, 왜 달리는가❓ 😀 그는 중학교 2학년 겨울, 게임에 빠져 잠과 밥을 거르는 삶을 살았다. 한 번은 72시간 동안 잠도 자지 않고 게임을 했다. 명목은 '랭킹 1등 유지'. 그렇게 3일 밤낮 없이 게임에 자신의 삶을 투자했다. 거기서 그치지 않았다. 5시간 자고 다시 게임에 몰두했다. 다시 한 번 72시간이 지나있었다. 🥱 이런 반복된 삶을 3달 동안 보냈다. 한량이, 이런 한량이 없었다. 아니 그때로 치면 '폐인'이 없었다. 그 탓인지 잠과 영양 공급의 부족으로 잦은 기침과 통증이 몰려왔다. 또한, 그는 급속하게 마르기 시작했다. 그래도 그는 게임만 했다. 🤢 어느 새, 그의 볼은 홀쭉해졌고 몸은 앙상해졌다. 성장기 덕분에 부쩍 커버린 키가 더해져 몸 자체가 '부실해' 보였다. 또한, 볼에는 하얀 버즘이 펴, '집에서 내놓은 아이'처럼 보였다. 3달 만에 그는 키 163cm 몸무게 65kg에서 키 177cm에 50kg을 달성했다. 그와 그의 가족은 단순히 생각했다. '게임을 많이해서 그런 거라고' 😇 다행인지 불행인지, 그는 매년 학교에서 시행하는 건강검진 덕분에 '병명'을 알게 됐다. 그 병명은 '폐결핵'. 폐결핵 확진을 받고 난 후, 그보다는 그의 가족이 그리고 선생님이 더욱 걱정했다. '후유증'이 남을까봐. 하지만 그는 이 폐결핵 덕분에 게임 랭킹 1등을 유지할 수 있어서 개꿀이라 생각했다. 폐결핵 증상에 따라 '식욕이 없어'졌기 때문. 😫 '와! 개꿀이다'라는 생각도 잠시, 그는 조금만 뛰어도 가빠오는 숨소리에 '왜 이러지?'라는 생각을 했다. 2학년 체육시간 2시간 동안 뛰어다녀도 무리없던 체력이, 10분만 뛰어도 힘들었기 때문이다. 결국, 그는 달리는 것을 거의 포기한다. 예를 들어 체육 시간 축구할 때도, 키퍼를 하거나 수비를 하며 설렁설렁 뛰어다녔다. 즉, '극복'과 '도전'이라는 것을 내팽겨친다. 🙄 이런 몸가짐과 마음가짐은 고등학교 때도 이어지는데, 여전히 그는 체력장에서도 오래 달릴 생각이 없었고, '오래' '달린다'라는 개념을 합칠 생각도 없었다. 그리고 이 문제는 정확히 10년 뒤에 터진다. 바로 '군대'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오래 달리기'를 시작하게 된 것도 군대 때문이고, 지속하게 된 곳도 군대이다. 💨 하지만 목표는 '군대'를 벗어난 '사회'에 있다. 다음 내용은 2️⃣부에서~ ✅ 제가 달리는 목표 거리는 10,000km 입니다. 혼자서 진행하다, 현재 좋은 분들을 만나 함께 10,000km 달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본 달리기는 1km당 100원 기부액을 책정하였고, 10,000km를 달성할 경우, 제가 공동창업한 크리에이터 플레이트에서 희귀병을 앓고 계신 '이봉주 선수'께 기부할 예정입니다. 관심있으신 분들은 링크를 통해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소리없는 달리기

원재의 Notion on Notion

소리없는 달리기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5월 13일 오전 4:16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ChatGPT 버전명 설명

    ChatGPT 사용할 때 어떤 모델을 선택해야할지 망설여집니다. 모델명만 봐서는 어떤게 좋은지 모르겠더라고요.

    ... 더 보기

    한 명의 리더가 일으키는 기적은 놀랍다. 한국도 많은 리더가 있었다. 그러나 요즘엔 국가의 리더는 별로 안 보이고 나라 안팎에서 구설수에만 오르고 있다. 신뢰와 화합의 리더십은 바닥이다. 인간다운 도리와 설득력, 역량이 없고 마음은 황폐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 더 보기

    [천기덕 칼럼] 리더와 꼰대의 '비소리와 공소리' - 1코노미뉴스

    1코노미뉴스

    [천기덕 칼럼] 리더와 꼰대의 '비소리와 공소리' - 1코노미뉴스

    조회 179


    AI로 인해 영어는 이제 진짜 말하기만이 답 입니다. 그리고 말만 할 줄 알면 기회가 정말 크게 넓어질거구요.


    이제는 모두가 체감하고 있듯이 앞으로 영어로 읽기 쓰기는 큰 의미가 없어지겠지만, 말하기는 더욱 중요해질 것이거든요.


    ... 더 보기

     • 

    저장 2 • 조회 2,946


    회사 경영진이 해결해야 할 '진짜 문제'를 정확히 파악하거나 전달하지 못해, 기술진·실무진이 잘못된 지표를 최적화하거나 가치가 낮은 영역에 집중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 더 보기

    AI 앞세운 프로젝트, 85%가 망하더라 [AI오답노트]

    cm.asiae.co.kr

    AI 앞세운 프로젝트, 85%가 망하더라 [AI오답노트]


    👠블로그마켓에서 일본 시부야까지, 마뗑킴이 브랜드가 되기까지

    ... 더 보기

    마뗑킴은 지속 가능한 브랜드가 되려 합니다

    www.openads.co.kr

    마뗑킴은 지속 가능한 브랜드가 되려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