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그는 폐결핵 후유증을 안고, 왜 달리는가❓ 😀 그는 중학교 2학년 겨울, 게임에 빠져 잠과 밥을 거르는 삶을 살았다. 한 번은 72시간 동안 잠도 자지 않고 게임을 했다. 명목은 '랭킹 1등 유지'. 그렇게 3일 밤낮 없이 게임에 자신의 삶을 투자했다. 거기서 그치지 않았다. 5시간 자고 다시 게임에 몰두했다. 다시 한 번 72시간이 지나있었다. 🥱 이런 반복된 삶을 3달 동안 보냈다. 한량이, 이런 한량이 없었다. 아니 그때로 치면 '폐인'이 없었다. 그 탓인지 잠과 영양 공급의 부족으로 잦은 기침과 통증이 몰려왔다. 또한, 그는 급속하게 마르기 시작했다. 그래도 그는 게임만 했다. 🤢 어느 새, 그의 볼은 홀쭉해졌고 몸은 앙상해졌다. 성장기 덕분에 부쩍 커버린 키가 더해져 몸 자체가 '부실해' 보였다. 또한, 볼에는 하얀 버즘이 펴, '집에서 내놓은 아이'처럼 보였다. 3달 만에 그는 키 163cm 몸무게 65kg에서 키 177cm에 50kg을 달성했다. 그와 그의 가족은 단순히 생각했다. '게임을 많이해서 그런 거라고' 😇 다행인지 불행인지, 그는 매년 학교에서 시행하는 건강검진 덕분에 '병명'을 알게 됐다. 그 병명은 '폐결핵'. 폐결핵 확진을 받고 난 후, 그보다는 그의 가족이 그리고 선생님이 더욱 걱정했다. '후유증'이 남을까봐. 하지만 그는 이 폐결핵 덕분에 게임 랭킹 1등을 유지할 수 있어서 개꿀이라 생각했다. 폐결핵 증상에 따라 '식욕이 없어'졌기 때문. 😫 '와! 개꿀이다'라는 생각도 잠시, 그는 조금만 뛰어도 가빠오는 숨소리에 '왜 이러지?'라는 생각을 했다. 2학년 체육시간 2시간 동안 뛰어다녀도 무리없던 체력이, 10분만 뛰어도 힘들었기 때문이다. 결국, 그는 달리는 것을 거의 포기한다. 예를 들어 체육 시간 축구할 때도, 키퍼를 하거나 수비를 하며 설렁설렁 뛰어다녔다. 즉, '극복'과 '도전'이라는 것을 내팽겨친다. 🙄 이런 몸가짐과 마음가짐은 고등학교 때도 이어지는데, 여전히 그는 체력장에서도 오래 달릴 생각이 없었고, '오래' '달린다'라는 개념을 합칠 생각도 없었다. 그리고 이 문제는 정확히 10년 뒤에 터진다. 바로 '군대'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오래 달리기'를 시작하게 된 것도 군대 때문이고, 지속하게 된 곳도 군대이다. 💨 하지만 목표는 '군대'를 벗어난 '사회'에 있다. 다음 내용은 2️⃣부에서~ ✅ 제가 달리는 목표 거리는 10,000km 입니다. 혼자서 진행하다, 현재 좋은 분들을 만나 함께 10,000km 달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본 달리기는 1km당 100원 기부액을 책정하였고, 10,000km를 달성할 경우, 제가 공동창업한 크리에이터 플레이트에서 희귀병을 앓고 계신 '이봉주 선수'께 기부할 예정입니다. 관심있으신 분들은 링크를 통해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소리없는 달리기

원재의 Notion on Notion

소리없는 달리기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5월 13일 오전 4:16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간만에 공개 발표를.. 이번 주 토요일,

    ... 더 보기

    Build with AI 2025 Seoul - 이벤터스

    event-us.kr

    Build with AI 2025 Seoul - 이벤터스

    조회 872


    < '모든 것을 받아들이기'의 진짜 의미 >

    1. 아무것도 기대하지 않으면 현재를 살게 된다.

    ... 더 보기

    < 왜 사람들은 과거를 계속 반복할까? >

    1. 미래는 대개 과거를 되풀이하게 마련입니다. 피상적인 변화는 가능하지만, 진정한 변화는 드뭅니다.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5 • 조회 988


    < '네이버 다녀요'라는 말에 아무도 무슨 일을 하는지는 묻지 않았다 >

    1

    ... 더 보기

    누구나 특정 회사에 들어서는 순간 느끼는 회사마다의 분위기가 있다. 가정도 마찬가지이다. 분위기가 엄해보이는 집, 까불까불한 집, 대화는 없어도 화목해보이는 집.

    ... 더 보기

    배달의 민족 한명수 CCO, 돈이 있어야 좋은 조직 문화를 만든다? “팩트는 기업 문화가 먼저 잘 잡혀야 돈이 따라온다”

    사례뉴스

    배달의 민족 한명수 CCO, 돈이 있어야 좋은 조직 문화를 만든다? “팩트는 기업 문화가 먼저 잘 잡혀야 돈이 따라온다”

    이직의 조건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