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도 읽고 있는 2020년 어반플레이 홍주석 대표님 인터뷰 당시 로컬사업의 필요성에 대해 나 스스로 납득할만한 이유를 찾고있는 와중 홍주석 대표님의 인터뷰를 보았고 ‘도시는 비효율적이다’라는 말을 잊을 수가 없다. 공간에 대한 어반플레이의 철학과 정부지원사업이 아닌 대중서비스를 위한 투자 선택까지 뭐하나 버릴게 없어 반복해서 읽는 인터뷰다. ⭐️ 하나의 공간과 그 공간에 콘텐츠를 담는 데에는 기술이 필요한데, 그 기술은 다 뒤에 숨어 있기에 모르는 거다. 기술이 먼저 드러나는 게 아니라 기술을 가지고 문화를 만들자는 의미다. 어차피 기술로 인해 라이프스타일이 변하기 때문에 우리도 그에 맞는 서비스를 해야 한다는 의미다. ⭐️융복합 기술로 해결하려는 사회적 이슈는 무엇인가? 홍 도시의 비효율이다. 자본과 권력이 낳은 비효율이 분명히 있다. 지금 시대는 그런 비효율이 테크놀로지에 의해 해체되고 깨지는 시대다. 결국 도시에 존재하는 문화의 본질로 접근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 지금은, 여기서 생산한 걸 당장 옆집에 보내고 싶다고 해도 물류 센터에 갔다가 다시 옆집으로 배송해야 한다. 엄청나게 비효율적이고 에너지 낭비다. 우리는 로컬 안에서 소비와 생산이 함께 이루어지는 게 효율적이라고 생각한다. 동네 빵집 같은 개인 브랜드가 활성화되고 가치 있는 콘텐츠가 소비되는 것, 그게 오히려 효율적이라고 여긴다. 지금 우리가 하는 가장 큰 프로젝트가 유휴 공간 사업인데, 공간의 가치를 업시키는 일이다. 도시의 공실률이 심하지 않나. 그런 다양한 문제를 우리가 미션 클리어하려고 한다. ⭐️ 그래서 공공 자금으로 프로젝트를 시행하는 게 아니라 대중 서비스로 소비가 이뤄져야 한다고 보았고, 우리가 그 접점을 만들어가려고 했다. 그러려면 VC(venture capital) 투자자도 필요하다고 판단해서 민간 투자 유치를 적극적으로 했다. ⭐️ 우리가 만드는 공간은 미디어 성격이라서 공간이 어느 정도 만들어지면 그 안에서 콘텐츠가 계속 소비돼야 한다. 트렌드를 민감하게 분석하고 그에 맞는 콘텐츠를 수급해서 채워야 하는 거다. ⭐️ 콘텐츠 크리에이터에게 가치가 있다는 걸 아는 문화가 생기면 젠트리피케이션이 생길 수 없다. 이들이 임차를 하면 오히려 건물주가 임대료를 깎아줘야 하는 현상이 일어나야 옳다고 본다. 우리는 건물주에게 싼 가격으로 통임대를 받는다. 우리 때문에 이 건물의 가치가 올라갈 거라고 얘기한다.

어반플레이가 말하는 2020 도시 공간 업데이트 | 에스콰이어 코리아 (Esquire Korea)

ESQUIREKOREA

어반플레이가 말하는 2020 도시 공간 업데이트 | 에스콰이어 코리아 (Esquire Korea)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5월 20일 오전 11:42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우리가 하는 ‘회사 일’은 대부분 사람으로부터 배우게 된다. 그만큼 그 일을 가르쳐 주는 이가 누구인가에 따라 나의 퍼포먼스도 일부 결정된다. 그(녀)가, 나를 키우려는 능력과 자질, 충분한 노력을 하려는 사람인지 아닌지에 따라 나의 실력은 평범해질 수도 혹은 일취월장하여 청출어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 더 보기

    [직장생존을 위한 비즈니스] 좋은 ‘사수’에게 발견할 수 있는 5가지 특별함 - 모비인사이드 MOBIINSIDE

    모비인사이드 MOBIINSIDE

    [직장생존을 위한 비즈니스] 좋은 ‘사수’에게 발견할 수 있는 5가지 특별함 - 모비인사이드 MOBIINSIDE

     • 

    조회 492


    < 당신이 바쁜데도 성과가 없는 이유 >

    1. '바쁘다'는 건 열심히 많은 일을 하고 있다는 뜻이다.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15 • 조회 1,415


    퍼플렉시티, 기업가치 19조 돌파 및 사업 확장

    ... 더 보기

    AI 스타트업 퍼플렉시티, 기업가치 19조8000억원…7조원 껑충

    파이낸셜뉴스

    AI 스타트업 퍼플렉시티, 기업가치 19조8000억원…7조원 껑충

    최근 어떤 기업의 창업자가 고향 주민들과 지인들에게 최대 1억 원씩 총 1,400억 원을 나누어 주었다는 언론 보도가 화제가 되었다. 우리나라에서 흔치 않은 ‘나눔’의 사례로 창업자가 도움받았던 사람들에게 보은하는 ‘감사의 정신’을 실천한 것이다.

    ... 더 보기

    기업가와 장사꾼의 차이 | 한국일보

    한국일보

    기업가와 장사꾼의 차이 | 한국일보

    세상 가장 어려운 일

    

    ... 더 보기

    조회 1,095


    여전히 나이를 중요하게 여기는 우리나라에서 사회생활할 때 가장 큰 변곡점이 오는 나이는 40세다. 물론 20대말과 30대 중반, 40대 중반, 50대에도 중간중간 크고 작은 변곡점이 있기는 하지만, 다시 돌이키기 어려울 정도로 이후 방향을 고착화시킨다는 의미에서, 혹은 현재 커리어패스가 중심이 아니라 이후 인생 2막이나 3막을 자발적이던 강제적이던 가야하는 상황은 아니라는 의미에서, 사회생활 시작과 함께 만들어온 커리어패스를 가지고 일을 할 수 있다는 기준에서 볼 때, 40세는 상징적이다.


    60세면 당연히 할아버지, 할머니 소리를 들으면서 70세 전후에 죽는게 당연했던 불과 20여년 전까지만해도 예전의 40세는 일하고 있는 산업과 분야에서 전문성과 리더십을 충분히 갖추고 있는 베테랑으로 이제 그동안 쌓아온 역량과 네트워킹으로 퇴직할 때까지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