님의 프로필 사진

"수치관리(ex. KPI 관리)는 직원들의 행동을 강화한다." 다들 아시는 바와 같이 성과를 만들어 내려면 반드시 '필요한 행동'을 해야 합니다. 행동없는 성과는 없습니다. 따라서 조직 구성원들이 성과에 필요한 '행동'을 꾸준히 실행(실천)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요. 그 방법 중 하나가 바로 수치관리(대표적으로 KPI 또는 PI)입니다. 요즘 당뇨 때문에 당뇨약도 먹고 운동도 할 뿐더러...아침 식사도 채소 위주로 굉장히 가볍게 먹고 있는데...그럼에도 불구하고 식후30분 혈당을 체크해보니 135정도 나오네요. (140까지가 정상/아주 높지는 않지만 당뇨약+식사량과 메뉴를 생각하면 좀 짜증나는 수치네요.) 사무실에 올 때 일부러 돌아돌아 20분을 걸었습니다. 그리고 사무실에 들어와서 혈당을 측정해보니 96이 되었네요. 원래 식후 1시간이 혈당 피크타임인데 식후 1시간 혈당수치가 96으로 확 떨어졌습니다. (96이면 아무것도 먹지 않은 공복혈당 수준입니다.) 이걸 직접 눈으로 확인한 저는 생각하죠. "역시 잠깐이라도 운동하는게 진짜 대박이구나!!!*.*" 이걸 눈으로 확인하면 운동을 하는 행동은 앞으로 강화될겁니다. 그냥 단지 혈당수치를 낮추는 것 자체가 목표였다면...혈당수치 96을 확인한 후 "됐다!"로 끝날텐데... 수시로 측정하고 눈으로 확인하고 원인을 찾고 하는 과정을 통해 '앞으로 운동을 더 열심히 해야겠다'는 행동이 강화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여러분들 회사의 수치관리(대표적으로 KPI 관리)를 하시기 바랍니다. [오늘의 교훈 요약] - KPI는 목표가 아니다. 관리의 대상이다. - 직원들에게 자신의 성과와 관련된 수치를 '수시로' 보여주면 행동이 강화될 수 있다. - 식후 꼭 잠시라도 운동을 하자.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6월 5일 오전 12:10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❶경영진이 인재관리에 충분한 시간과 노력을 기울이지 않음(54%)

    ... 더 보기

    [변화디자이너 허일무의 리더십체인지] 인재육성의 리더십(1)

    데일리경제

    [변화디자이너 허일무의 리더십체인지] 인재육성의 리더십(1)

    데이터 분석가 채용공고 40개 분석한 데이터 공유합니다

    ... 더 보기

    데이터 분석가 되려면 어떤 역량이 필요할까요?

    datarian.io

    데이터 분석가 되려면 어떤 역량이 필요할까요?

    📰 인공지능만으로 운영된 스타트업의 실패


    카네기 멜론 대학교의 연구자들은 “TheAgentCompany”라는 회사를 만들었다. 이 회사는 AI 모델들이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재무 분석가, 프로젝트 매니저로 일하는 곳.


    ... 더 보기

    앱 업데이트의 본질을 파헤치고, 기능 개선 인사이트를 찾아보는 모임

    ... 더 보기

    AIXperience 클럽 소개 | Notion

    update-log on Notion

    AIXperience 클럽 소개 | Notion


    5월 둘째주 - OpenAI 인수부터 마소에 반기까지. 다 하는군요

    O

    ... 더 보기

    2025년 5월 9일 (금) - 새 교황님 신상털기 총정리 : 오호츠크 리포트

    55check.com

    2025년 5월 9일 (금) - 새 교황님 신상털기 총정리 : 오호츠크 리포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