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커머스는 왜 OTT 등 영상 콘텐츠를 서비스 하는 걸까?] 최근 업종간의 경계가 점점 사라지고 있는 듯 하다. 티몬은 광고를 재미있게 만들더니 자체 웹드라마를 만들어 유투브에 서비스하고 있고 쿠팡은 쿠팡플레이를 통해 독점 콘텐츠를 내보이고 있으며 네이버는 멤버십을 통해 티빙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 기업들은 얼핏보면 연관성이 없어 보이는 영상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는 것일까? 유통업과 콘텐츠업의 경계가 무너지고 IT라는 큰 틀에서 묶이는 것 같다. 고객을 확보하기 위해 재미있는 콘텐츠를 만들어 제공한다. 고객 체류시간을 늘려 상품을 구매하게 하고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질 수 있도록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과거 같았으면 e커머스 기업들은 더 많은 상품, 더 저렴한 가격에 초점을 맞춰 고객을 공략했을 것이다. 하지만 MZ세대 등 재미를 찾는 컨슈머가 증가하면서 이전과 같은 방법으로는 고객 락인을 하는 것에 한계가 생겼다. 이렇게 업종간의 경계가 모호해지며 고객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어떠한 가치를 줄 수 있을 지를 더 고민하게 되는 것 같다. 다만, 이 기업들의 전략이 정말로 고객의 매출을 이끌어내고 충성도를 올리는 것인지는 좀 더 확인해볼 문제라고 생각한다. 티몬 같은 경우는 광고와 웹드라마의 반응은 좋지만 경쟁력과 시장 점유율은 점점 떨어지고 있다. 본업에 충실하며 추가적인 방안으로 봐야한다.

드라마 보고 쇼핑도 하고...e커머스, OTT·웹드라마 공략 이유는?

Naver

드라마 보고 쇼핑도 하고...e커머스, OTT·웹드라마 공략 이유는?

2021년 6월 7일 오전 4:03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