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자가 되고 싶으면 대체 뭐부터 공부해야하는거야?🧐〕 프로덕트 오너, 프로덕트 매니저, 서비스 기획자... 신입으로 들어가긴 어려운데, 매력적인 직군이라 취업은 하고 싶고 🥲 경력으로 피봇팅 하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하기에 퍼블리와 커리어리에서 현직자 분들의 인터뷰나 아티클을 뒤적이고 계신분들도 많으실 텐데요. 예비 기획자로서 지식을 쌓는 것을 넘어, 역량과 통찰력을 (진짜) 키울 수 있는 알짜방법! ‘서비스 역기획’을 소개합니다. 〔👀콘텐츠 맛보기〕 기획자는 First user, '첫 번째’ 사용자입니다. 내가 불편한 것, 내가 필요한 것을 민감하게 캐치하고, 고치고 만들 수 있어야 합니다. 호기심을 잃은 기획자는 그러므로 짜지 않은 소금과 같습니다. 아무데도 쓸 곳이 없지요. - 박태웅 ‘기획자는 무엇을 하는 사람일까’ - 놀랍게도 위 글은 '서비스 기획' 직무가 생소하던 2011년에 쓰여진 글이다. 요약하자면, 환경이나 도구가 변화해도 '사용자(고객)이 원하는 가치를 전달'하는 과제는 변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자신의 맨 눈'에 '사용자의 렌즈'를 장착하기 위해 끊임없이 학습해야 한다는 것>이다. (중략) 사용자(고객)의 입장에서 서비스를 이해하기 위해, 다양한 서비스들을 사용해보고 장단점들을 기록하는 일부터 시작했다. 하지만 아이가 '이 과자 이래서 맛있어요, 저 과자는 저래서 맛있어요.' 라는 말만 반복하는 기분이 들었다. 그들의 마음을 아는 게 중요한 게 아니라, 마음을 얻는 방법이 중요하지 않은가. 실제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많은 서비스 기획자들은 이 방법으로 역기획을 추천한다. (중략) 역기획의 가장 큰 장점은 '사용자'의 눈으로 문제를 발견하고 '기획자'의 손으로 문제를 해결하며 서비스의 개선방안을 구상할 수 있다는 것이다. 현업 기획자는 사용자의 입장을 100% 이해하기에 한계가 존재한다. 조직의 상황과 한계, 이에 따른 우선순위를 정하다보니 문제가 뒷편으로 밀릴 때도 있고 '서비스 메이커' 입장의 사고가 무의식속에 박혀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마치 남자와 여자가 결코 서로가 될 수 없는 것과 같다. 경쟁사 분석 역시 사측의 입장에서 바라보기에 순도 높은 사용자의 렌즈를 끼기 어렵다.

초보 기획자의 서비스 역기획 도전하기 1부

Brunch Story

초보 기획자의 서비스 역기획 도전하기 1부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6월 7일 오후 11:52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프롬프트 엔지니어에 대한 빗나간 예측

    2022년 말이 었나요? ChatGPT가 처음 등장했을 때, 앞으로 "프롬프트 엔지니어"라는 새로운 직업이 뜰 거라는 말이 정말 많았습니다. LLM(Large Language Model)으로 부터 최소한의 질문으로 원하는 응답을 얻기 위해서 프롬프트를 최적

    ... 더 보기

     • 

    저장 9 • 조회 3,875


    《희고 흰, 흰색에 흰색》

    ... 더 보기

     • 

    저장 3 • 조회 568


    < 해결책 과잉 시대, 이제는 의미가 답이다 >

    1. 과거에는 해결해야 할 문제가 해결책의 양을 크게 웃돌았습니다.

    ... 더 보기

    기업 대표들 중에는 “우리는 직원 교육을 할 여유가 없다.”라고 거리낌없이 이야기하는 사람이 있는데, 안타깝게도 이런 생각을 지닌 기업에는 눈에 띄는 인재가 모이기 어렵다. 그러니 교육에 투자해야 한다. 그렇다고 덜컥 큰 돈을 쓰라는 의미는 아니다. 투자한다는 것은 돈을 써서 외부 연수를 시킨다는 의미 말고도, 사내에서 시간과 노력을 들여 교육을 한다는 뜻도 있다.

    ... 더 보기

    [기업성장 컨설팅] 성장하는 회사 사원 교육에 돈 쓰고 도태되는 회사 사원 교육에 무관심

    미래를 보는 신문 - 전자신문

    [기업성장 컨설팅] 성장하는 회사 사원 교육에 돈 쓰고 도태되는 회사 사원 교육에 무관심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 더 보기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K리그 프로그래머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 

    저장 9 • 조회 2,1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