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자가 되고 싶으면 대체 뭐부터 공부해야하는거야?🧐〕 프로덕트 오너, 프로덕트 매니저, 서비스 기획자... 신입으로 들어가긴 어려운데, 매력적인 직군이라 취업은 하고 싶고 🥲 경력으로 피봇팅 하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하기에 퍼블리와 커리어리에서 현직자 분들의 인터뷰나 아티클을 뒤적이고 계신분들도 많으실 텐데요. 예비 기획자로서 지식을 쌓는 것을 넘어, 역량과 통찰력을 (진짜) 키울 수 있는 알짜방법! ‘서비스 역기획’을 소개합니다. 〔👀콘텐츠 맛보기〕 기획자는 First user, '첫 번째’ 사용자입니다. 내가 불편한 것, 내가 필요한 것을 민감하게 캐치하고, 고치고 만들 수 있어야 합니다. 호기심을 잃은 기획자는 그러므로 짜지 않은 소금과 같습니다. 아무데도 쓸 곳이 없지요. - 박태웅 ‘기획자는 무엇을 하는 사람일까’ - 놀랍게도 위 글은 '서비스 기획' 직무가 생소하던 2011년에 쓰여진 글이다. 요약하자면, 환경이나 도구가 변화해도 '사용자(고객)이 원하는 가치를 전달'하는 과제는 변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자신의 맨 눈'에 '사용자의 렌즈'를 장착하기 위해 끊임없이 학습해야 한다는 것>이다. (중략) 사용자(고객)의 입장에서 서비스를 이해하기 위해, 다양한 서비스들을 사용해보고 장단점들을 기록하는 일부터 시작했다. 하지만 아이가 '이 과자 이래서 맛있어요, 저 과자는 저래서 맛있어요.' 라는 말만 반복하는 기분이 들었다. 그들의 마음을 아는 게 중요한 게 아니라, 마음을 얻는 방법이 중요하지 않은가. 실제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많은 서비스 기획자들은 이 방법으로 역기획을 추천한다. (중략) 역기획의 가장 큰 장점은 '사용자'의 눈으로 문제를 발견하고 '기획자'의 손으로 문제를 해결하며 서비스의 개선방안을 구상할 수 있다는 것이다. 현업 기획자는 사용자의 입장을 100% 이해하기에 한계가 존재한다. 조직의 상황과 한계, 이에 따른 우선순위를 정하다보니 문제가 뒷편으로 밀릴 때도 있고 '서비스 메이커' 입장의 사고가 무의식속에 박혀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마치 남자와 여자가 결코 서로가 될 수 없는 것과 같다. 경쟁사 분석 역시 사측의 입장에서 바라보기에 순도 높은 사용자의 렌즈를 끼기 어렵다.

초보 기획자의 서비스 역기획 도전하기 1부

Brunch Story

초보 기획자의 서비스 역기획 도전하기 1부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6월 7일 오후 11:52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AI로 인해 영어는 이제 진짜 말하기만이 답 입니다. 그리고 말만 할 줄 알면 기회가 정말 크게 넓어질거구요.


    이제는 모두가 체감하고 있듯이 앞으로 영어로 읽기 쓰기는 큰 의미가 없어지겠지만, 말하기는 더욱 중요해질 것이거든요.


    ... 더 보기

     • 

    저장 2 • 조회 2,948


    < 성공하는 사람은 '왜', 실패하는 사람은 '어떻게'를 묻는다 >

    1.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갖기 쉬운 프레임은 대개 하위 수준이다.

    ... 더 보기

    < 뇌를 가장 빠르게 바꾸는 3가지 방법 >

    1. 뇌를 재설계하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 더 보기

    < 당신이 본 것은 현실인가, 개념인가? >

    1. 사물을 개념을 통하지 않고 본다면 결코 싫증 나는 일이 없습니다.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1 • 조회 225


    한 명의 리더가 일으키는 기적은 놀랍다. 한국도 많은 리더가 있었다. 그러나 요즘엔 국가의 리더는 별로 안 보이고 나라 안팎에서 구설수에만 오르고 있다. 신뢰와 화합의 리더십은 바닥이다. 인간다운 도리와 설득력, 역량이 없고 마음은 황폐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 더 보기

    [천기덕 칼럼] 리더와 꼰대의 '비소리와 공소리' - 1코노미뉴스

    1코노미뉴스

    [천기덕 칼럼] 리더와 꼰대의 '비소리와 공소리' - 1코노미뉴스

    조회 189


    역전의 명수

    

    ... 더 보기

     • 

    저장 4 • 조회 1,0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