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을 설명하는 이메일 하나>
- 2007년 10월 2일, 애플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책임자 버트랜드 설렛(Bertrand Serlet)은 스티브 잡스에게 이메일 한 통을 보낸다.
"좋아요. 앱스토어로 아이폰에 다른 앱 들어오게 합시다. 아래 규칙만 지켜서요.
1. 앱 배포를 관리로 유저를 보호하기.
2. 안전한 프로파일에서 앱 돌아가게 하여, 네트워크 보호하기
3. 개발자 플랫폼 제공
4. API들은 지속가능하게
얘기만 하지 말고 지금 합시다. 우리가 필요한 인력은 모두 여기에 집중하게 해서요.
동의해요?"
- 스티브 잡스의 답변은 심플하다. "그렇게 하세요. 내년 1월 15일 맥월드에서 발표할 수 있다면요"
- 사실 앱스토어를 개방하는 것에 대해 스티브 잡스는 썩 긍정적이지 않았다. 하지만 잡스는 메일 답장에서 설렛의 제안에 쉽게 OK했을 뿐 아니라 출시 일정까지 명확하게 정해버린다.
- 여기서 애플이 일하는 방식이 명확하게 드러난다. 극도의 효율성과, 명료한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직원들이 거리낌 없이 의견을 내는 문화.
- 책임자는 자신의 주장을 하는데 거리낌 없다. 리더를 설득하려는 쓸데없는 데이터나 이유를 붙이지도 않고, 모든 디테일을 이해시키려고 하지 않는다. 이해와 공감을 바라는 게 아니라 간단명료하게 무엇을 할 예정이고, 할 지 안 할지 여부만 물어본다.
- 리더는 굳이 캐묻지 않고, 그냥 OK한다. 그 사람들을 고용한 이유는 그냥 그 일을 하라고 뽑은거지 디테일이나, 쓸데없는 배경 설명을 듣고자 뽑은게 아니다.
다만 우선순위와 일정은 명확하게 정리해준다. 굉장히 타이트하게 일정을 던져준 것은, 다시 말해서 모든 리소스는 해당 프로젝트에 집중하라는 뜻과 마찬가지이다.
- 어쨌든 저 이메일 한 통을 시작으로 애플은 앱스토어를 출시했고, 2020년에만 6430억달러 규모 매출을 올렸다.
지난 시간에 이어서 데이터 분석가가 성장하기 위해 필요한 3가지 마인드셋(Mindset)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여기서 마인드셋(Mindset)은 하나의 가치관 또는 사고 방식이라고 이해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성장하는 데이터 분석가는
1. 분석적 사고(Analytical mindset)
2. 문제-해결 논리(Problem-solving Approach)
3. 의사소통 (Communicational mindset)
이 3가지를 갖추어야 합니다.
그럼 두번째 문제-해결 논리에 대해 이야기 해볼까요?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