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년대생은 대한민국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by 임명묵 작가(28)] "현재 젊은 세대에 대한 기성세대 시선은 두 가지인 것 같다. 하나는 사회 이슈에 관심 많은 40대 이상의 기성세대가 90년대생을 직장 등에서 직접 만나 생활하면서 느끼는 이질감이 있을 것이다. 두 번째는 눈으로 확인한 의아한 표심이다. 정치권 표심이 민주당과 보수당, 양당 구도로 흘러가지 않는 것에 대한 의아함이랄까.. 경제가 이미 고도 성장했고 절대 빈곤에서는 어느 정도 해방된 세대다. 민주당이나 진보진영으로 상징되는 주류 식자층은 본인들이 성장에서 낙오된 사람들을 위해 지지대가 돼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90년대생은 성장 과정에서의 낙오에 문제의식이 있다기보다 위로 올라가야 하는데 올라가지 못하는 것에 불만이 더 크다. ‘정보화’라는 특질도 주목해야 한다. 90년대생은 유년기에 PC를 접했고 청소년기에 스마트폰을 가지고 놀았다. 이전 세대와 미디어 인식 면에서 큰 차이를 보일 수밖에 없다. 내 삶을 SNS에 전시하고 계속 타인의 매력 자본과 비교하는 문화에 익숙하다. 여기에 계층 격차가 더해지니 주관적 불행감과 절망이 과거 세대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크다"

[김도연의 취재진담] "90년대생, '선의 알겠는데 왜 당신 집은 10억 올랐어?' 묻고 있다"

미디어오늘

[김도연의 취재진담] "90년대생, '선의 알겠는데 왜 당신 집은 10억 올랐어?' 묻고 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6월 13일 오전 10:11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 더 보기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K리그 프로그래머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 

    저장 13 • 조회 2,950


    무너지고 있는 프론트엔드, 백엔드 직군의 경계에 대한 고찰

    AI 기술이 우리 일상과 산업 전반에 스며들면서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 역시 큰 변화의 물결을 맞이하고 있다. 특히 코딩을 돕는 AI 에이전트의 등장은 개발 생산성에 대한 큰 변화를 만들고 있다. 나 역시 이러한 변화를 체감하며, 나에게 익숙한 소프트웨어 개발의 대표적인 두 축인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영역에서 AI 기술이 미치는 영향과 그로 인해 변화하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의 역할에 대해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해 본다.

    ... 더 보기

     • 

    저장 32 • 조회 3,725


    기획 제안형 UX 포폴, 어떻게 문제 해결력을 보여줄까?

    UX 포트폴리오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 더 보기

    📰 인공지능만으로 운영된 스타트업의 실패


    카네기 멜론 대학교의 연구자들은 “TheAgentCompany”라는 회사를 만들었다. 이 회사는 AI 모델들이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재무 분석가, 프로젝트 매니저로 일하는 곳.


    ... 더 보기

    OpenAI가 발표한 Codex의 핵심은 AI와 함께 진짜 팀으로 일하는 것 같은 경험을 준다는거네요.


    기존의 코딩 어시스턴트는 Agent라는 이름을 붙였어도 결국은 자동완성의 확장에 그치는 것이라, 즉, 나의 뇌를 확장하는 것이라 한계가 좀 명확했는데요.


    ... 더 보기

    조회 1,1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