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력적인 타겟 페르소나를 설정하는 법> 1. 흔히 타겟 페르소나를 정할 때, 나이나 성별 등 인구학적 기준으로 이를 설정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2. 그보다는 고객을 욕망이라는 원자 단위로 잘게 쪼개는 고객 초세분화를 하고, 이를 토대로 고객이 가진 욕망을 근거로 타겟 페르소나를 설정하는 것이 좀 더 유의미한 방법입니다. 3. 다시 말해, 나이나 성별 등 '고객의 유형을 인격화'하는 것이 아니라, '고객의 욕망을 인격화'하는 것이 타겟 페르소나를 설정할 때 더 중요하다는 말인데요. 4. 분명 비즈니스에서 고객은 중요합니다. 하지만 고객만큼이나 중요한 게 고객의 욕망입니다. 5. 따라서 고객이 가진 욕망의 포착해 타겟 페르소나를 설정하는 것, 그리고 그 타겟 페르소나들이 어떤 행동을 하고 어떤 사건을 만들어낼지를 예측한 것이 진정한 의미의 타겟 마케팅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요즘 이걸 가장 잘 하는 회사가 바로 '나이키'입니다. 6. 나이키는 마라톤, 농구, 축구, 골프 등 각 카테고리마다 거기에 맞춰서 다 다르게 페르소나를 설정할 뿐 아니라, 7. 최근 들어 나이키는 기존에 본인들이 설정한 기존의 타겟 페르소나들이 여성들에게 어필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여성들이 가지는 운동 욕망을 자극하는 새로운 페르소나를 만들어서 직접 이름까지 붙였는데요. 8.바로, ‘제시'와 ‘알렉스'입니다. '제시'는 달리기와 마라톤을 좋아하고, 이를 잘하기 위해 맹렬하게 훈련하는 30대 여성이고, '알렉스'는 운동을 포함해 늘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트렌디한 20대 중반 여성입니다. 9. 즉, 제시는 달리기 등 운동 그 자체에 열광하는 여성의 욕망을 캐릭터화한 것이고, 알렉스는 쇼핑과 공유, 트렌디함을 추구하는 욕망을 캐릭터로 만든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나이키는 이들을 따로 분류해서, 서로 다른 만족감을 느낄 수 있도록 각각에게 최적화된 경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10. 제시를 위해선 운동을 더 잘할 수 있는 경험을 설계하고, 알렉스를 위해선 트렌드하고 재미있는 제품형 콘텐츠를 집중적으로 제공하는 것이죠. 11. 이런 가상의 페르소나를 설정하는 전략이 먹히자, 나이키는 또 하나의 가상 페르소나를 만들어내는데요. 그 이름은 '크리스'로, 한정판 운동화를 모으는 것을 좋아하는 운동화 수집광 캐릭터를 만들어낸 겁니다. 12.그리고 크리스에게는 크리스가 가진 욕망을 잘 충족시키기 위해 운동화를 구매하는 과정을 마치 게임처럼 즐길 수 있도록 만들었는데요. 이를 위한 AR앱까지 만들었습니다. 13. 또한, 나이키는 본인들이 가진 오프라인 공간을, 고객의 욕망을 읽기 위해 도구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나이키의 제시, 알렉스, 크리스와 룰루레몬의 오션, 듀크의 공통점

Ttimes

나이키의 제시, 알렉스, 크리스와 룰루레몬의 오션, 듀크의 공통점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6월 13일 오후 11:08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잡초를 없애려면 잡초 말고 오히려 잔디를 깎아야 한다 >

    1. 자기 철학이 있는 사람들은 어떻게 그런 경지에 오르게 되는 것일까?

    ... 더 보기

    업계는 오픈AI와 퍼플렉시티의 웹브라우저가 크롬의 아성을 무너뜨릴 수 있을지 주목한다. 시장조사업체 스탯카운터에 따르면 전 세계 웹브라우저 시장 점유율은 크롬이 68%로 압도적 1위다. 애플 사파리가 16%로 뒤를 이었고, 마이크로소프트 엣지 5%, 파이어폭스와 삼성인터넷은 2% 수준에 그쳤다. 크롬의 높은 검색 점유율은 구글의 광고 매출로 이어진다. 크롬은 사용자의 검색 기록을 바탕으로 광고를 타겟팅하고, 이를 통해 높은 수익을 올리고 있다.

    ... 더 보기

    ‘크롬 천하’ 웹브라우저 시장 도전하는 AI기업들

    국민일보

    ‘크롬 천하’ 웹브라우저 시장 도전하는 AI기업들

    조회 288


    가끔 미국이나 홍콩 등에서 온 해외 투자자들을 만날 때가 있다. 이미 상장된 전 세계 대기업에 투자하는 큰 펀드를 운용하는 회사에 다니는 분들이다. 그들과 이야기하다가 한국의 경영자들은 그들을 잘 만나주지도 않고, 회사의 방향성에 대한 커뮤니케이션도 잘 못한다는 얘기를 들었다.

    ... 더 보기

    글로벌 매체에서 인정받는 한국 경영자가 없는 이유

    ㅍㅍㅅㅅ

    글로벌 매체에서 인정받는 한국 경영자가 없는 이유

    조회 162


    올해로 개발자 생활이 햇수로 20년째다

    2005년 7월에 일을 시작했으니, 올해로 개발자 생활이 햇수로 20년째다. 중간에 공백이 조금씩 있었으니 꽉 채운 스무 해는 아니지만, 숫자가 주는 무게는 여전하다. 20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다는 사실이 새삼 신기하게 느껴진다.

    ... 더 보기


    DDD와 AI

    ... 더 보기

     • 

    저장 15 • 조회 1,5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