뭔가를 유용한 서비스를 무료로 사용했다면 아마 그건 현금 대신에 자신의 개인정보를 넘겨주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개인이 어떻게 행동하는지에 대한 정보의 가치는 점점 높아지고 있습니다. 구글에서 뉴욕 여행을 검색하면 페이스북에 바로 관련 광고가 뜹니다. 위치 정보, 건강 정보, 웹 사이트 이용 정보 등등을 수익으로 연결하는 비즈니스 모델은 점점 많아질 것입니다. 이런 시점에서 프라이버시를 강조하는 애플의 태도가 흥미롭습니다. 이제 돈을 조금 더 내더라도 자신의 정보를 넘겨주고 싶지 않은 사람들이 생겨날 수도 있습니다. 애플이 가져가고 있는 전반적인 프리미엄 전략은 이런 태도를 통해서도 뒷받침 될 수 있을지도 모르겠어요.

애플은 왜, 28년 만의 CES에서 '프라이버시'를 말하나

중앙일보

애플은 왜, 28년 만의 CES에서 '프라이버시'를 말하나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1월 11일 오후 2:21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절대 폭락하지 않는 투자처

    ... 더 보기

    간만에 재밌게 읽은 기술 포스트

    ... 더 보기

    무진장 힘들었지만 무진장 성장한 개발 이야기

    Medium

    무진장 힘들었지만 무진장 성장한 개발 이야기

    ⟪트레바리 북클럽, 리서치 하는데요 시즌6⟫

    ... 더 보기

    성장이 어려운 환경에서의 개발자 생활

    저런 개발자 생활도 한적이 있어서 다양한 생각이 든다.

    “어이 신입, 탈출각이다” | 요즘IT

    요즘IT

    “어이 신입, 탈출각이다” | 요즘IT

    < 왜 어떤 제품에만 '열광적인 팬'이 생길까요? >

    1

    ... 더 보기

    긴 커리어 여정에서 바람직한 조언만 듣게 되는 것은 아니다. 물론 좋은 의도의 조언이었을 수 있다. 하지만 한 사람에게 유효한 교훈이 다른 사람에게도 꼭 들어맞는 것은 아니다.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은 고정관념도 있다.

    ... 더 보기

    ‘듣지 않길 잘했다’··· ITDM들이 공유한 '틀린 리더십 조언' 이야기

    CIO

    ‘듣지 않길 잘했다’··· ITDM들이 공유한 '틀린 리더십 조언'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