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과학과 UX 🧠] 작업기억의 한계, 외부 기억의 활용 인지심리학에서 '기억'은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어떠한 정보나 자극에 주의를 주고 인지한 후 처리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작업 기억(Working Memory) 단계를 거처 단기기억 또는 장기기억으로 넘어가게 됩니다. 하지만 문제는 이 '작업 기억'의 용량이 제한되어있다는 것입니다. 많은 정보나 자극이 주어졌을 때 우리가 다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를 생각하면 작업기억의 제한된 용량을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실험에 의하면 정보가 단계별로 주어졌을 때 1단계에서 요구되는 기억할 정보가 많을 수록 2단계에서 주어지는 정보를 기억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고 합니다. 이는 개인의 인지적 능력을 떠나서 1단계에서 작업기억의 용량을 이미 사용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UX에서 이러한 부분을 고려할 때 사용자에게 작업기억의 부담을 주지 않게 정보를 적당히 주는 것은 당연한 방향이지만 어렵기도 합니다. 특정 액션들은 다른 것들에 비해 다소 복잡한 정보 처리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는데, 이럴 때 이용할 수 있는 개념이 바로 외부기억장치(External Memory)입니다. 우리가 보통 설명을 듣거나 회의를 할 때 펜이나 다른 도구를 이용하여 필기하는 경우가 있는데 제한된 작업기억의 용량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외부기억에 의존하는 행동이라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태스크를 진행하는 동안 제한된 작업기억을 보완하여 필요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해주는 UI형태들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경우로 호텔, 제품, 보험 플랜 등을 비교하고 선택할때 사용자들의 많은 작업기억 용량을 요구하게 되는데 최근에 본 상품들을 별도 영역에 제공하거나, 비교 테이블을 별도로 제공하는 형태로 외부기억을 통해 작업기억의 한계를 보완한 UI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혹은 한 번에 모든 액션들을 하도록 요구하지 않으면서 별도의 UI필터를 제공해 사용자의 정보처리를 분리하는 경우도 작업기억에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편리한 사용성을 주는 UX라고 볼 수 있습니다.

Working Memory and External Memory

Nielsen Norman Group

Working Memory and External Memory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6월 29일 오전 6:36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당신에게 필요한 건, 딱 100미터 앞의 시야면 충분해요 >

    1. 야간 주행을 생각해보라. 헤드라이트는 고작 50~100미터 앞밖에 비추지 못하지만 당신은 그 차를 몰고 캘리포니아에서 뉴욕까지라도 갈 수 있다.

    ... 더 보기

    AI 시대가 열리면서, 역설적이게도 역대 최대의 인재 영입 전쟁이 벌어지

    1

    ... 더 보기

    [팩플] AI는 사람 싸움…빅테크, ‘애크하이어’로 인력 확보 경쟁

    n.news.naver.com

    [팩플] AI는 사람 싸움…빅테크, ‘애크하이어’로 인력 확보 경쟁

    마이웨이

    

    ... 더 보기

    B2B 산업과 시장에서 B2B 고객에 맞는 접근법이 별도로 필요하다

    사업아이템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스타트업과 대기업 신사업/신제품 부서 대상 교육과 컨설팅을 하면서 B2C도 중요하지만 더 큰 산업이자 시장인 B2B에서 사업 성장 가능성을 찾아야만 한다고 누누히 이야기해왔다. 코로나 사태가 지나고 AI와 딥테크가 주요 키워드가 된 이후 이제는 더이상 B2B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하지 않아도 될 정도로 인식이 많이 바뀌었다.

    ... 더 보기

    9년째 스타트업과 로컬 비즈니스를 육성하는 동시에 직접 투자도 병행하고 있는 입장에서 시드나 프리A, 시리즈A 단계 투자 대상으로 요즘 계속 지켜보고 있는 분야나 주제가 몇 있다. 작년과 올해초 이 바닥 투자 이야기하면서 이미 언급해오긴 했는데 아직 변동 없다.


    수직형 AI 기술과 서비스은 몇년째 꾸준히 살피고 직접 투자도 진행했고,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세계 주요국 경제상황이 안좋다는 점에서 먹고 사는 문제, 의식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만한 아이템을 선별해서 분석하고 투자도 집행했다. 같은 이유로 소비를 최소화

    ... 더 보기

    원하지 않는 역할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