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카 시상식은 캠페인 기간동안 표심을 잡기 위한 영화사들의 홍보 전쟁도 치열하다고 알려져 있는데요 표를 갖고 있는 사람들만을 위해 평균 2000~3000만 달러(약 347억원) 가량을 쓴다고 합니다. 특히 올해는 넷플릭스 등 스트리밍 서비스 영화가 오스카 캠페인에 뛰어들면서 경쟁이 더 치열해졌는데요 이러한 경쟁을 뚫고 4관왕을 차지한 데에는 영화의 예술적 완벽함과 더불어 대기업 자본의 뒷받침이 있었다 라는 분석 입니다. "기생충 은 빈부와 관련한 이야기다. 반지하 밑에 지하가 더 있고, 그 지하로 내려간 사람들의 이야기다. 이 훌륭한 작품, 이 영화의 빛나는 성과 뒤에는 한국의 대기업이자 재벌인 CJ가 있다. 아이러니하지만 예술은 자본에 기생하며 꽃을 피운다. 이 아이러니조차 '기생충'이다"

'기생충' 오스카 캠페인에 CJ ENM이 쓴 돈은?

n.news.naver.com

'기생충' 오스카 캠페인에 CJ ENM이 쓴 돈은?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2월 11일 오전 12:48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요즘 사람들이 가장 많이 AI를 활용하는 분야 Top 10

    1

    ... 더 보기

    How People Are Really Using Gen AI in 2025

    Harvard Business Review

    How People Are Really Using Gen AI in 2025

     • 

    저장 9 • 조회 1,146


    < 스포티파이와 멜론, 같은 음악인데 왜 경험은 다를까? >

    1. 엔터테인먼트 프로덕트의 본질은 콘텐츠다. 사용자는 콘텐츠를 소비하며 감정을 느낀다. 재미, 감동, 공포, 희열. 인간의 다양한 감정이 콘텐츠를 통해 꺼내진다.

    ... 더 보기

    🙉 달레의 찐팬이 되어주실래요? 💕

    ... 더 보기

    PM이 이해하면 좋은 지표 개념

    프로덕트 매니저(PM)로 일하면서 늘 지표 이야기를 듣게 됩니다. 대부분 PM은 선행지표(leading indicator)와 후행지표(lagging indicator)의 개념을 잘 이해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선행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인풋(input) 지표, '아웃풋(o

    ... 더 보기

    이력서에 쓰는 경험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