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블리매일읽기챌린지 #퍼블리뷰 #퍼블리뷰6일차 시장조사를 할 때마다 불안했는데, 이유는 지금까지 조사한 내용으로 충분한 걸까, 이렇게 해도 되나 싶은 생각이 들 때가 종종 있었기 때문이었다. 시장조사의 순서와 들어가야 할 내용이 상세하게 나와 있어서 실무에 정말 유용할 것 같다. 시장조사의 기본, 시장조사의 A to Z를 다 알려준 느낌이다. 내용 적어두고 일할 때 바로 적용해봐야겠다. 👀 요약 1. 워밍업-똑똑하게 검색하는 법 : 홍보 말고 현상을 보여주는 기사를 찾자 2. 배경/현상조사 : 찾은 기사 제목을 통해 공통 키워드를 추출, 현재 시장 트렌드가 나온 배경과 시장의 상황을 유추해보자 / 기본 개념이 된 핵심 용어를 찾자. 3. 타겟조사 : 네이버보단 구글 검색이 유용하다. 타겟 조건을 구체적으로 넣을수록 더 뾰족한 분석 가능(성별, 연령대 등) 4. 경쟁사 조사 : 기본적으로 기사에서 언급되는 기업들을 찾고, 이 기업들을 네이버 키워드도구에 입력해서 가장 높은 검색량 가진 기업 추려보면 세세한 분석 가능/네이버 데이터랩에서 브랜드들 한눈에 비교할 수 있다 5. 그래프 및 도표 조사 : 증권사 리포트나 전문지 기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수치적 자료: 실적, 시장 전망 등) 6. 자료를 정리하기 : 위 순서대로 자료 검토한 내용 정리하면 완성 📌 밑줄 - 사회, 문화적 현상을 나타내는 키워드가 제시되면 분석 기사인 경우가 많습니다. - 보통 트렌드가 궤도에 오르면 이를 용어로 호칭합니다. '라이브 커머스', '메타버스' 같은 용어 말이죠. - 타겟 조사할 때는 네이버가 아니라 구글을 활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구글은 사용자가 많이 찾거나, 여러 사이트에서 언급되는 링크를 더 많이 노출하기 때문입니다. - 네이버 검색광고 플랫폼에서 키워드 도구를 활용하면 브랜드별 키워드 검색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보고를 목적으로 시장조사를 하는 경우, 깐깐한 팀장님과 부장님의 눈높이에 맞추려면 수치화된 도표나 자료가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특정산업의 연도별 성장 추이나 주요 브랜드의 매출액 변화, 고객 수의 증감이 대표적입니다. - 조사를 거듭할수록 반복해서 나오는 개념이나 단어는 트렌드의 본질에 가깝다고 할 수 있습니다.

1시간 만에 끝내는 생존형 자료조사: 업계 트렌드 조사 편

publy.co

1시간 만에 끝내는 생존형 자료조사: 업계 트렌드 조사 편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8월 28일 오후 1:52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정부는 이런 관행이 기관의 단타 매매와 새내기주 가격 하락으로 이어진다고 보고 의무 보유 확약 물량이 40%(올해는 30%)에 미치지 못하면 주관 증권사가 공모주의 1%를 6개월 동안 반드시 보유하도록 했다. 약 20% 수준이었던 의무 보유 확약 비율을 30%대로 끌어올리지 못하면 주관사가 공모주 인수에 따른 리스크를 안게 되는 만큼 부담이 크다.

    ... 더 보기

    셈법 복잡해진 IPO…기관 의무 보유 강화하자 신고서 제출 '0' [시그널]

    서울경제

    셈법 복잡해진 IPO…기관 의무 보유 강화하자 신고서 제출 '0' [시그널]

    B2B 산업과 시장에서 B2B 고객에 맞는 접근법이 별도로 필요하다

    사업아이템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스타트업과 대기업 신사업/신제품 부서 대상 교육과 컨설팅을 하면서 B2C도 중요하지만 더 큰 산업이자 시장인 B2B에서 사업 성장 가능성을 찾아야만 한다고 누누히 이야기해왔다. 코로나 사태가 지나고 AI와 딥테크가 주요 키워드가 된 이후 이제는 더이상 B2B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하지 않아도 될 정도로 인식이 많이 바뀌었다.

    ... 더 보기

    < 진보는 조용히 오고, 파괴는 시끄럽게 온다 >

    1. 문제는 고쳐지고 사람들은 적응한다. 위협이 크면 해결책이 나올 동인도 똑같이 커진다.

    ... 더 보기

    9년째 스타트업과 로컬 비즈니스를 육성하는 동시에 직접 투자도 병행하고 있는 입장에서 시드나 프리A, 시리즈A 단계 투자 대상으로 요즘 계속 지켜보고 있는 분야나 주제가 몇 있다. 작년과 올해초 이 바닥 투자 이야기하면서 이미 언급해오긴 했는데 아직 변동 없다.


    수직형 AI 기술과 서비스은 몇년째 꾸준히 살피고 직접 투자도 진행했고,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세계 주요국 경제상황이 안좋다는 점에서 먹고 사는 문제, 의식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만한 아이템을 선별해서 분석하고 투자도 집행했다. 같은 이유로 소비를 최소화

    ... 더 보기

    원하지 않는 역할

    

    ... 더 보기

    동고동락 팀워크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