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그리버드' 핀란드의 혁신 창업생태계] 짤막한 핀란드 스타트업 환경을 소개한 기사입니다. "핀란드 스타트업이 두각을 나타내는 분야는 정보통신기술과 게임, 청정기술" 이라고 소개하고 있네요. 여기에 AI와 헬스테크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고 추가하고 있습니다. 넵, 저도 동의합니다. "이처럼 핀란드 창업생태계가 나날이 발전하는 이유는 핀란드 정부의 ‘지원하되 개입하지 않는’ 정책 때문입니다." 음...현지에서 살면서 느끼는 점은: 개입하고 싶어도 그럴 인력도, 국가 규모도 되지 않기에 하지 못하는 것이 주요한 것 같습니다. (핀란드는 인구가 5백만 밖에 되지 않아요. 여기에 유럽 최고 수준의 고령화 + 저출산 사회입니다.) 그래서 자의 반 타의 반으로 감시에 들어갈 인력을 최소화하고 스타트업들에게 자율성, 자치성, 신뢰를 제공하는데 주력합니다. 그것이 의외의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 같습니다.

[김호준의 中企탐구] '앵그리버드' 핀란드의 혁신 창업생태계

이데일리

[김호준의 中企탐구] '앵그리버드' 핀란드의 혁신 창업생태계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2월 17일 오전 8:18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종이 잡지 주제에 콘텐츠 커머스의 정석을 보여주고 있는 하루메쿠

    1

    ... 더 보기

    시니어 콘텐츠도 1등이 될 수 있습니다.

    롱라이프랩 뉴스레터

    시니어 콘텐츠도 1등이 될 수 있습니다.

    소신

    

    ... 더 보기

    야근의 관성

    제가 한국에서 직장 생활을 시작하고 가장 먼저 배운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야근이었습니다. 신입이었던 제게 야근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었거든요. 선배들에게 야근은 너무나 당연한 루틴이었고, 저녁 5시가 되면 "퇴근 안 해?"가 아니라 "저녁 뭐 먹을까?"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누가 정해놓은 것처럼 부장님이 퇴근해야 과장님이, 과장님이 퇴근해야 대리님이, 대리님이 퇴근해야 비로서 저 같은 신입도 퇴근 생각을 할 수 있었습니다.

    ... 더 보기

     • 

    저장 15 • 조회 3,800


    성장이 어려운 환경에서의 개발자 생활

    저런 개발자 생활도 한적이 있어서 다양한 생각이 든다.

    “어이 신입, 탈출각이다” | 요즘IT

    요즘IT

    “어이 신입, 탈출각이다” | 요즘IT

    길은 잃은 이력서

    

    ... 더 보기

    ⟪트레바리 북클럽, 리서치 하는데요 시즌6⟫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