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혹은 OTT 및 개인 미디어) 시대의 콘텐츠 비즈니스는 CaaS(Content as a Service)로 전환되고 있다. 콘텐츠 제작사가 서비스 기업으로 전환되는 것처럼 보이는 것도 이런 맥락. 쉽게 말해 하이브가 위버스를 제작하고 서비스하는 상황, 혹은 카카오와 네이버가 콘텐츠에 직접 투자하는 상황. 이런 상황에서 개인 크리에이터나 소규모의 크리에이티브 팀, 혹은 스타트업들은 어떻게 대응할 수 있을까? 이게 내 고민. * 서비스로서의 콘텐츠: 서비스로서의 콘텐츠는 다른 시스템이 활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원시 콘텐츠(즉, HTML과 같이 인간적으로 호환되는 특정 표현 필요 없이)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서비스로서의 콘텐츠는 인간의 직접적인 소비를 위한 것이 아니라, 다른 플랫폼들이 그들의 특정한 요구에 따라 콘텐츠를 소비하고 이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일반적으로 클라우드에서 발생하며, 전 세계적으로 액세스할 수 있고 컨텐츠에 표준 형식을 제공하는 중앙 집중식 플랫폼에서 발생한다. 서비스형 콘텐츠(Content as a Service)를 사용하면 컨텐츠를 하나의 리포지토리로 중앙 집중화하여 관리, 분류, 다른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 검색 또는 원하는 모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8월 29일 오후 12:51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가장 예쁜 사람이 아니라, 1등 할 사람에게 투표하라 >

    1. 유명한 경제학자 케인스는 단기 투자 전략을 미인선발대회에 비유했다.

    ... 더 보기

    < 이직을 고민하는 당신이 던져야 할 단 3가지 질문 >

    1. 커리어를 선택하는 기준은 다양하다. 일단 내가 가진 가치관이 가장 큰 영향을 준다. 남들의 시선과 판단도 무시할 수 없다. 이직 트렌드와 경향도 살펴봐야 한다.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7 • 조회 1,038


    생각해볼 부분이 많은 chart

    우리는 이런 세상에 살고 있고, 이중 몇몇은 더 잘될것이고, 몇몇은 말이되는 multiple로 내려올것.


    < 왜 어떤 제품에만 '열광적인 팬'이 생길까요? >

    1

    ... 더 보기

    절대 폭락하지 않는 투자처

    ... 더 보기

    긴 커리어 여정에서 바람직한 조언만 듣게 되는 것은 아니다. 물론 좋은 의도의 조언이었을 수 있다. 하지만 한 사람에게 유효한 교훈이 다른 사람에게도 꼭 들어맞는 것은 아니다.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은 고정관념도 있다.

    ... 더 보기

    ‘듣지 않길 잘했다’··· ITDM들이 공유한 '틀린 리더십 조언' 이야기

    CIO

    ‘듣지 않길 잘했다’··· ITDM들이 공유한 '틀린 리더십 조언'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