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마이뮤직테이스트는 머신러닝을 기반으로 콘서트(특히 케이팝 콘서트)의 수요를 예측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가진 스타트업이다. 음악 산업에서 공연은 가장 규모가 큰 수익모델이라, 기획사 입장에서는 성공율이 높아야 한다. 그런데 이 성공률은 경험에 기반한 바가 많아서 모험을 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케이팝은 좀 더 국지적으로 확산되고, 미지의 시장을 만드는 산업이라 공연 지역의 실패를 최소화할 필요가 높아진다. 마이뮤직테이스트의 그로스팀은 바로 이런 맥락에서 수요 예측의 정확도를 높이는 노하우를 가진 곳이다. 그에 대한 스토리를 1~4부에 걸쳐 연재한 글. [이 글에서 고른 한 문단] 이런 상황을 해결해보기 위해 마이뮤직테이스트는 서비스를 통해 지역별 수요 데이터인 Make를 모으고 직접 공연을 하면서 이 문제를 해결하고 있습니다. Make를 통해 지역별 수요 데이터를 모으고 직접 공연을 수행해서 티켓 판매 데이터를 모읍니다. 예측에 필요한 기본적인 데이터를 모으는 작업인 동시에 예측 모델의 성능을 확인하는 과정이죠. 이 과정을 통해 판매량 예측 모델을 제작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데이터가 쌓입니다. [왜냐면] 로우 데이터가 없다. 그러면 직접 모아야 한다. 그것도 대량으로. 이 문단에서는 짧게 언급되었지만, 사실상 지난하고 지루하고 하드한 워킹이다..... 하지만 솔루션을 만들기 위해선 필수적인 부분. 그래서 눈에 띄었다.

머신러닝으로 콘서트 티켓 판매량 예측하기(1) 콘서트 비즈니스에서 예측의 역할 - MyMusicTaste

Medium

머신러닝으로 콘서트 티켓 판매량 예측하기(1) 콘서트 비즈니스에서 예측의 역할 - MyMusicTaste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2월 17일 오후 5:00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혹시, 리더인 당신 혼자서만 일하고 있지는 않습니까? >

    1. 나는 관리자의 결과물이 그가 관리하는 조직의 결과물이라고 생각한다.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

    ... 더 보기

    DDD와 액터

    D

    ... 더 보기

    WEBNORI

    wiki.webnori.com

    WEBNORI

    요즘처럼 기업의 윤리경영이 화두가 된 적이 없는 것 같다. 과거에는 일종의 면죄부가 있었다. “능력이 있으면 되지, 도덕성까지 요구할 수 있나?”는 의식이 은연중에 자리 잡고 있었다.

    ... 더 보기

    [CEO 심리학] 도덕성과 능력은 별개?…한몸처럼 움직여야 이득 - 매일경제

    매일경제

    [CEO 심리학] 도덕성과 능력은 별개?…한몸처럼 움직여야 이득 - 매일경제

    조회 180


    오픈소스로 완성하는 AI Full Stack

    AI와 관련된 수 많은 오픈소스들이 쏟아지면서 오픈소스 생태계는 그야말로 AI 오픈소스 르네상스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LangChain의 성공을 시작으로 많은 오픈소스들이 나오면서 AI 업계 시스템을 빠르게 메꾸고 있기도 합니다.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131 • 조회 8,359


    👉테헤란로 소진언니 인터뷰, 공공기관 MZ의 커리어 고민!

    ... 더 보기

    < 가장 위대한 창작은 ‘경계’에서 탄생한다 >

    1. 세상에 없던 새로운 건 모두 한 사람의 상상에서 시작된다. 그 결과인 창작물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