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번의 세계화로 본 인류의 미래 <지리 기술 제도> 『빈곤의 종말』의 저자이자 국제금융, 거시경제 및 재건분야의 세계적 석학 제프리 삭스의 시간을 소개합니다. ☆ ★☆ ★ 도서 이벤트 안내 ☆ ★☆ ★ @경계를 허무는 콘텐츠 리더, 21세기북스 그리고 이 책으로 오후의 책방에서 개설 3년 만에 처음으로 도서 이벤트를 합니다~^^ 이 책에 대해 간단한 퀴즈를 두 개 낼텐데요. 정답과 함께 이 책에 대한 기대감을 아래 댓글로 달아주시면 다섯 분을 선정해서 책을 선물로 보내드릴께요. 9월 15일 화요일까지 달아주신 분에 한해서 선정하고요. 당첨자는 16일 12시 점심시간에 고정댓글로 올리겠습니다. ☆책소개 『총, 균, 쇠』의 저자 재레드 다이아몬드는 "이 책은 지난 7만 년 동안의 역사에서 우리가 반드시 알아야 할 사항들을 탁월하게 정리해놓았다. 인류의 역사를 알고 싶다면 이 책 한 권만 있으면 된다. 이미 갖고 있던 수십 권의 역사 분야 책들이 모두 필요 없게 될 것이다. "라고 평했습니다. 좀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극찬을 했는데요. 그럴 만한 이유가 있습니다. 지난 7만년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인류의 '세계화'과정을 통찰하는 이 책은 지금 우리가 맞고 있는 코로나19 팬데믹 사태와 범지구적인 문제들을 어떻게 해결해나갈 수 있는지에 대해 혜안을 줍니다. 이 지점에서 두 분의 견해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재레드 다이아몬드 교수님이 근래 가장 몰두하고 있는 주제에 대해 이 책은 그 근거를 제공하는 셈입니다. 이 책은 세계화 과정에서 지리, 기술, 제도가 어떻게 서로 상호작용했지는를 설명합니다. 저자는 세계화에 따른 폐해가 무엇이었는지를 지적합니다. 이 폐해를 최소한으로 통제하고 세계화의 해택을 극대화해나갈 방안에 대해 지난 역사를 고찰함으로써 답을 찾으려 합니다. 그리고 긍정적인 미래를 그리고 있습니다. 물론 저자의 희망적인 주장에 분명히 반론이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해요. 첫째. 저자는 21세기는 다극화시대라고 하지만, 여전히 세계는 2강 시대입니다. 미국과 중국이 과연 협력을 하겠느냐, 두 나라는 세계의 패권을 쥐기 위해 경제적 군사적 정치적으로 첨예하고 대립하고 있는데? 그 전망은 현재 코로나19 문제를 대하는 두 나라의 모습을 보시면 짐작하실 겁니다. 둘째. 종교나 자원문제는 더 심각하요. 제프리 삭스나 제레드 다이아몬드 본인들이 유대인인데, 과연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유대교와 이슬람이 종교을 뛰어넘어 협력할 수 있느냐? 중동을 둘러싸고 세계 강국들의 자원전쟁은 지금도 극심하게 대립하는 현실이고요. 셋째, 집단 내에서는 놀라울 정도로 협력적이고, 다른 집단에 대해서는 경쟁이 심하다. 이것이 인간의 본성이라는 전제에서 논리를 전개하는데, 이 전제가 사실 모순이 있다는 지적이에요. 요건 설명이 너무 길어지니까 생략하고, 뤼트허르 브레흐만의 <휴먼카인드>를 참조하시면 좋겠어요. 넷째, 새로운 국제협력이 필요하다고 하는데, 국제사회에서 UN이 제 역할을 하고 있지 못하는 상황에서 과연 새로운 기구나 협력은 어떤 모습일 것인가! 모든 인류가 국가, 민족, 인종을 넘어 공통의 인류애로 협력할 수 있는 가치, 철학, 제도를 제시할 수 있는지, 만약 있다면 그것이 무엇인지. 설마 BTS? <지리 기술 제도>는 독서토론으로 아주 좋은 책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혹시 독서모임을 하고 계신다면 이 책을 주제로 삼아 많은 논의가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얼핏 생각하면 이 책의 주제가 나와 무관한 거대담론이라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각론을 들여다보면 나의 일상을 결정하는 아주 중요한 주제들이에요. 저자의 말 그대로 “지금 가장 중요한 문제들은 모두 세계적”이기 때문이에요. 좋은 책을 소개할 수 있어 참 좋습니다. 여러분께 추천드립니다.

『지리 기술 제도』 7번의 세계화로 본 인류의 미래 - 제프리 삭스 ☆☆북이벤트☆☆

www.youtube.com

『지리 기술 제도』 7번의 세계화로 본 인류의 미래 - 제프리 삭스 ☆☆북이벤트☆☆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9월 11일 오전 5:12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포트폴리오는 장기자랑이다

    

    ... 더 보기

    9년째 스타트업과 로컬 비즈니스를 육성하는 동시에 직접 투자도 병행하고 있는 입장에서 시드나 프리A, 시리즈A 단계 투자 대상으로 요즘 계속 지켜보고 있는 분야나 주제가 몇 있다. 작년과 올해초 이 바닥 투자 이야기하면서 이미 언급해오긴 했는데 아직 변동 없다.


    수직형 AI 기술과 서비스은 몇년째 꾸준히 살피고 직접 투자도 진행했고,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세계 주요국 경제상황이 안좋다는 점에서 먹고 사는 문제, 의식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만한 아이템을 선별해서 분석하고 투자도 집행했다. 같은 이유로 소비를 최소화

    ... 더 보기

    마이웨이

    

    ... 더 보기

    B2B 산업과 시장에서 B2B 고객에 맞는 접근법이 별도로 필요하다

    사업아이템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스타트업과 대기업 신사업/신제품 부서 대상 교육과 컨설팅을 하면서 B2C도 중요하지만 더 큰 산업이자 시장인 B2B에서 사업 성장 가능성을 찾아야만 한다고 누누히 이야기해왔다. 코로나 사태가 지나고 AI와 딥테크가 주요 키워드가 된 이후 이제는 더이상 B2B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하지 않아도 될 정도로 인식이 많이 바뀌었다.

    ... 더 보기

    나의 꿈

    

    ... 더 보기

    미들캡 딜 가격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준오헤어의 초기 매각가는 5000억원대로 거론됐다가 현재 8000억원대로 치솟았다. 블랙스톤 KKR 칼라일 등 글로벌 대형 PEF들이 관심을 보이면서 몸값이 올랐다는 게 업계의 후문이다. 한 IB 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PEF들이 과거에는 조 단위 이상 대형 딜에만 집중했지만 최근에는 투자집행이 중요한 만큼 1조원 안팎의 거래라도 성장성이나 시너지가 있다고 판단되면 적극적으로 들여다보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 더 보기

    글로벌 PEF의 미들캡 공습…설 자리 좁아지는 토종 PEF

    n.news.naver.com

    글로벌 PEF의 미들캡 공습…설 자리 좁아지는 토종 PEF

    조회 4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