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계 없는 이상한 행성, 그 곳은 스타트업!] 스타트업에서 체계가 없다고 느끼는 이유 3가지 1️⃣명확한 업무 R&R 2️⃣의사결정에 대한 명확한 규정 3️⃣정비되지 않은 업무와 프로세스 부재 [코멘트✍] ✔잡플래닛같은 곳을 보면 스타트업 회사들에서 많이 그리고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단어가 있습니다. 그 것은 "체계가 없다"입니다. 그러면 대기업은 체계가 있을까? 개인적으로 대기업도 체계는 없다는 것이 저의 생각입니다. 대기업에 체계적으로 느껴지는 것은 <명확한 업무 R&R>, <의사결정에 대한 명확한 규정>, <정비되지 않은 업무와 프로세스 부재> 때문인 것 같습니다. 그리고 대기업은 3가지 요소가 융합하여 기계적으로 운영이 됩니다. 그리고 대기업의 체계라는 것도 변화합니다. 단, 그 변화의 속도가 느릴 뿐... 저는 스타트업은 <명확한 업무 R&R>만 잘 잡혀있어도 소위 체계적이라고 생각합니다. 그 이유는 스타트업의 구성원들이 주도적으로 자신의 R&R이끌어 가면서 서브 R&R까지 확장할 가능성과 이를 통해 구성원의 성장이 극대화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더 나아서 조직의 성장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합니다. ✔추가적으로 <의사결정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있다면 스타트업이지만 체계가 잘 잡혀있다고 생각을 합니다. 의사결정에 대한 규정은 다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의사결정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있다면 빠르게 실행하고 개선해 나갈 수있는 원동력이 되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정비되지 않은 업무와 프로세스 부재> 위 2개 요소가 잘 잡혀있다면 어느순간 이 문제를 정비하고 해결해야하는 상황은 올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성장해 나가면서 정비된 업무 프로세스로 자연스럽게 변화하지 않을까 합니다. 대신 <정비되지 않은 업무와 프로세스 부재> 개선을 위해서는 리더가 장기적으로 조직원들이 겪는 고충을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지속적으로 고민 해나가는 것이 중요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쉽지는 않겠지만요)

스타트업 체계 없는이상한 행성

Brunch Story

스타트업 체계 없는이상한 행성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9월 24일 오전 2:16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