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가 과연 음원 구독 서비스로서 멜론이 흥할 수 있었던 포인트를 잘 습득하고 실패 사례들을 통해 동영상과 뉴스 콘텐츠 구독으로 이어지게 하는 그런 전략을 구성할 수 있을지 주목이 되는 시점입니다. 다만, 상황상 크게 달라진 점이라면 음원 서비스로서 선택지가 많지 않았던 시기에 흥했던 멜론과는 다르게 카카오가 만든 서비스'만'을 사용할 이유 자체는 없어진 현실인데요. 동일한 콘텐츠를 뉴스와 동영상으로서 제공하는 서비스들이 아닌 유사한 혹은 다양한 동영상, 뉴스 서비스들 속에서 강점을 가지려면 확실한 컨셉의 콘텐츠 유통 전략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됩니다. 꼭 그것이 넷플릭스와 같은 웰메이드 콘텐츠이냐 아니면 문턱을 확 낮춘 유튜브냐 이런 접근이 아니더라도 새로운 관점의 컨셉과 접근 전략을 말이죠.

[단독] 카카오 "뉴스·동영상 구독모델이 새 성장동력" - 매일경제

매일경제

[단독] 카카오 "뉴스·동영상 구독모델이 새 성장동력" - 매일경제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3월 3일 오후 1:39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공공기관 5년차 MZ가 워라밸 버리고 "이것" 선택한 진짜 이유

    ... 더 보기

    < 성공한 사람들은 ‘의도적으로’ 선택한다 >

    1. '의도적'은 당신에게 가장 중요한 단어다. 우리가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되는 유일한 핵심 단어일 수도 있다.

    ... 더 보기

    올해 상반기 글로벌 IPO 시장 1위는 홍콩거래소가 차지했다. 홍콩거래소는 조달금액 139억달러로 나스닥(92억달러), 뉴욕증권거래소(78억달러)를 따돌렸다. 상하이증권거래소도 45억달러로 4위를 차지하는 등 중국과 홍콩거래소가 상당한 비중을 기록했다. 작년만 해도 활황세를 누리던 인도가 1위를 차지하고 나스닥이 2위를 차지했는데, 올해 홍콩거래소가 약진한 것이다.

    ... 더 보기

    나스닥 제친 홍콩, 글로벌 IPO 1위 차지한 비결 [차이나는 중국] - 머니투데이

    머니투데이

    나스닥 제친 홍콩, 글로벌 IPO 1위 차지한 비결 [차이나는 중국] - 머니투데이

    조회 213



    정부는 이런 관행이 기관의 단타 매매와 새내기주 가격 하락으로 이어진다고 보고 의무 보유 확약 물량이 40%(올해는 30%)에 미치지 못하면 주관 증권사가 공모주의 1%를 6개월 동안 반드시 보유하도록 했다. 약 20% 수준이었던 의무 보유 확약 비율을 30%대로 끌어올리지 못하면 주관사가 공모주 인수에 따른 리스크를 안게 되는 만큼 부담이 크다.

    ... 더 보기

    셈법 복잡해진 IPO…기관 의무 보유 강화하자 신고서 제출 '0' [시그널]

    서울경제

    셈법 복잡해진 IPO…기관 의무 보유 강화하자 신고서 제출 '0' [시그널]

    대단한 사람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