곰, 곰돌이, 삶 곰이 야성넘치는 본래 곰의 모습으로 살 수 있다면, 곰은 행복할 것입니다. 그러나 인간이 가장 번성한 지금과 같은 시절에 곰이 곰으로 살아간다는 건 생명을 위협하는 많은 위험을 감수해야하는, 어쩌면 피곤한 삶일 겁니다. 반면, 곰이 자기 성질(?)을 꺾고 인간의 도움에 의지해 살아가는 '곰돌이'가 된다면, 먹고사는 문제는 고민하지 않아도 되는 안온한 삶을 살 수도 있습니다. 직장 생활 속에서도 곰을 만날 수 있습니다. 자기 하고픈 일을 하기 위해, 남들이 선망하는 직장을 과감히 퇴사 하시는 분들을 가끔씩 접하게 됩니다. 그리고 곰돌이도 있습니다. 가족 봉양을 위해 자신의 적성은 접어두고, 회사 일에 매진하시는 분들 중에서 종종 뵙게됩니다. 곰과 곰돌이들은 각자가 모두 옳습니다. 그래서 제3자된 우리가 그들의 삶에 대해 맞다 틀렸다를 논하기는 어렵지요. 다만, 그들의 삶을 내 삶에 비추어, 나는 어떤지 바라보는 거울 삼으시면 됩니다. 거울을 통해 내가 곰인지, 곰돌이인지를 발견하면 그 뿐. 내가 누군지를 아는 것만으로도 인생의 많은 문제가 해결됩니다. 특히, 내 길이 아닌 것에 대해 미련과 욕심을 제어하는 데 특효약이지요. P.S. 그간 큐레이션 한 뉴스와는 상당히 성격이 다르지만, 제목이 빼어나고 문장이 유려하며, 글의 구성도 훌륭한 글이라 생각하여 뽑아보았습니다.

[카페 2040] 곰이 될 것인가, 곰돌이가 될 것인가

Digital Chosun

[카페 2040] 곰이 될 것인가, 곰돌이가 될 것인가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3월 3일 오후 3:40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기술, 개발 학습 자료 7가지

    최근 자주 사용하고 있는 기술, 개발 및 자기 계발 학습 자료를 모아서 공유합니다. 1️⃣ Educative.io 퀄리티가 상당히 높은 기술 관련 코스가 많은 것 같아요. 현재까지 코스 3개를 들었습니다. 책처럼 읽으면서 배우는 코스라 듣는 것보다 읽으면서 학습하는 걸 선호하는 분들에게 추천합니다. 주제를 깊이 파고들고 코드나 설계 예시가 많아서 잘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최근에 Concurrency관련 코스를 듣고 있습니다. https://www.educative.io/ 2️⃣ Designing Data Intensi... 더 보기

    Educative: Interactive Courses for Software Developers

    Educative

    Educative: Interactive Courses for Software Developers

     • 

    댓글 9 • 저장 958 • 조회 22,068


    소프트웨어 공학 스킬과 개념 빨리 익히는 법

    배울 건 많고, 시간은 없는데 개념 익히고 내 것으로 완전히 만드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립니다. 빨리 배울 수 있는 팁 없을까요? 스킬과 개념 빨리 익히는 팁 알려주는 영상이 있어서 정리해서 올려요. 1️⃣ 다양한 기술 접해보기 프런트엔드라면 프런트엔드의 다양한 프레임워크에 관해서 배운다. 여기서 ‘다양한’이라는 단어를 사용했지만 따지고 보면 새로운 프레임워크를 배우는 건 ‘프론트엔드‘라는 같은 영역에서 비슷한 기술을 습득하는 것이다. 계속 성장하려면 이렇게 한 영역에 집중한 기술보다 다양한 영역의 기술을... 더 보기

    How I learn new skills & software engineering concepts fast

    YouTube

    How I learn new skills & software engineering concepts fast

     • 

    저장 92 • 조회 5,704


    요즘처럼 기업의 윤리경영이 화두가 된 적이 없는 것 같다. 과거에는 일종의 면죄부가 있었다. “능력이 있으면 되지, 도덕성까지 요구할 수 있나?”는 의식이 은연중에 자리 잡고 있었다.

    ... 더 보기

    [CEO 심리학] 도덕성과 능력은 별개?…한몸처럼 움직여야 이득 - 매일경제

    매일경제

    [CEO 심리학] 도덕성과 능력은 별개?…한몸처럼 움직여야 이득 - 매일경제

    조회 168



    < 가장 위대한 창작은 ‘경계’에서 탄생한다 >

    1. 세상에 없던 새로운 건 모두 한 사람의 상상에서 시작된다. 그 결과인 창작물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