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now) - 농심 신라면 해외 매출이 국내 매출 추월 -> 올해 3분기 누적 신라면의 해외 매출액은 3천700억원, 전체 매출액 6천900억원의 53.6% -> 올해 신라면 매출액이 해외 매출 5천억원을 포함, 총 9천3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 -> 1986년 출시된 신라면의 해외 매출 비중이 국내를 추월한 것은 처음 history) - 농심은 1987년부터 신라면 수출을 시작해 현재는 세계 100곳에 수출 -> 1990년대 중국과 미국 등에 해외 생산기지를 둬 현지 시장을 공략 -> 1996년 중국 상하이, 1998년에는 중국 청두, 2000년 중국 선양 공장 설립 -> 2005년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공장 설립 -> 1999년부터 중국 소비자들을 겨냥해 '농심신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을 창설, 2014년 이후 여러 차례 중국 인민일보 인민망의 '중국인이 사랑하는 한국 명품'으로 선정 -> 2017년 한국 식품 최초로 미국 월마트 4천여곳에 입점 분석) - 해외 한국인들의 수요에 의한 매출 증가인지, 해외 원주민들의 수요에 의한 매출 증가인지 구분해야 -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외 매출이 국내 매출을 앞지른 것은 한국 식품에 대한 관심이 일시적인 것이 아님을 보여줌 - 비비고도 레이커스와 스폰서 계약을 맺은 것처럼, 앞으로 한국 식품 자체적인 홍보와 브랜드 이미지 축적이 관건 - 단지 외국의 신기한 먹을거리가 아닌, 외국의 일상적인 식단에 포함되는 것을 목표로 해야 - 1인 가구의 증가 추세가 글로벌 트렌드, 즉석 식품 위주의 공략이 앞으로 어떤 결과를 야기할 지 기대 됨

농심 신라면, 해외 매출 국내 앞질렀다

연합인포맥스

농심 신라면, 해외 매출 국내 앞질렀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10월 5일 오전 1:41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세상 가장 어려운 일

    

    ... 더 보기

    조회 1,096


    브런치에서의 6년, 그리고 100만뷰

    2

    ... 더 보기

    우리가 하는 ‘회사 일’은 대부분 사람으로부터 배우게 된다. 그만큼 그 일을 가르쳐 주는 이가 누구인가에 따라 나의 퍼포먼스도 일부 결정된다. 그(녀)가, 나를 키우려는 능력과 자질, 충분한 노력을 하려는 사람인지 아닌지에 따라 나의 실력은 평범해질 수도 혹은 일취월장하여 청출어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 더 보기

    [직장생존을 위한 비즈니스] 좋은 ‘사수’에게 발견할 수 있는 5가지 특별함 - 모비인사이드 MOBIINSIDE

    모비인사이드 MOBIINSIDE

    [직장생존을 위한 비즈니스] 좋은 ‘사수’에게 발견할 수 있는 5가지 특별함 - 모비인사이드 MOBIINSIDE

     • 

    조회 494


    < 당신이 바쁜데도 성과가 없는 이유 >

    1. '바쁘다'는 건 열심히 많은 일을 하고 있다는 뜻이다.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15 • 조회 1,419


    사모펀드(PEF) 운용사 VIG파트너스는 컨소시엄을 구성해 카카오모빌리티 지분 약 40% 인수를 위한 협상을 진행 중이다.

    ... 더 보기

    카카오모빌리티 지분 인수에 UAE 무바달라·골드만삭스 참여…1조원 투자 추진 - 매일경제

    매일경제

    카카오모빌리티 지분 인수에 UAE 무바달라·골드만삭스 참여…1조원 투자 추진 - 매일경제

    조회 593


    여전히 나이를 중요하게 여기는 우리나라에서 사회생활할 때 가장 큰 변곡점이 오는 나이는 40세다. 물론 20대말과 30대 중반, 40대 중반, 50대에도 중간중간 크고 작은 변곡점이 있기는 하지만, 다시 돌이키기 어려울 정도로 이후 방향을 고착화시킨다는 의미에서, 혹은 현재 커리어패스가 중심이 아니라 이후 인생 2막이나 3막을 자발적이던 강제적이던 가야하는 상황은 아니라는 의미에서, 사회생활 시작과 함께 만들어온 커리어패스를 가지고 일을 할 수 있다는 기준에서 볼 때, 40세는 상징적이다.


    60세면 당연히 할아버지, 할머니 소리를 들으면서 70세 전후에 죽는게 당연했던 불과 20여년 전까지만해도 예전의 40세는 일하고 있는 산업과 분야에서 전문성과 리더십을 충분히 갖추고 있는 베테랑으로 이제 그동안 쌓아온 역량과 네트워킹으로 퇴직할 때까지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