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경영 앞으로 모든 기업들이 얼마나 공공의 문제 해결에 기여하느냐가 정말 중요해질 것 같다. 먹고 사는 문제가 중요해진 만큼 보여지는 것보다 보여지지 않는 부분에서 말이다. 나 뿐만이 아닌 개인이 처한 환경에서 가장 기본적인 것들을 해결해 주고, 사람이 살아가는데 좋은 영향을 미쳐야 하는게 숙명이지않을까? 돈을 벌기 위해 또는 이미지를 만들기 위한 것이 아닌 진짜 내가 살아가는 환경에서 자신이 느끼는 문제가 고객이 느끼는 문제일 것 같다. 얼마나 공감하고 어떻게 실행할 것인가? 생각해 봐야 할 것 같다. 이 기사를 읽고 느낀점은 이것.

[기고]ESG경영, 규제가 아닌 제도적 뒷받침 필요

뉴데일리

[기고]ESG경영, 규제가 아닌 제도적 뒷받침 필요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10월 8일 오전 10:38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왜 사람들은 과거를 계속 반복할까? >

    1. 미래는 대개 과거를 되풀이하게 마련입니다. 피상적인 변화는 가능하지만, 진정한 변화는 드뭅니다.

    ... 더 보기

    ❶경영진이 인재관리에 충분한 시간과 노력을 기울이지 않음(54%)

    ... 더 보기

    [변화디자이너 허일무의 리더십체인지] 인재육성의 리더십(1)

    데일리경제

    [변화디자이너 허일무의 리더십체인지] 인재육성의 리더십(1)

    《23분》

    ... 더 보기

    < 뇌를 가장 빠르게 바꾸는 3가지 방법 >

    1. 뇌를 재설계하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 더 보기

    < 해결책 과잉 시대, 이제는 의미가 답이다 >

    1. 과거에는 해결해야 할 문제가 해결책의 양을 크게 웃돌았습니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