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 OECD가 주도, 136개 국가들이 참여해 - 글로벌 기업들이 15%의 corporate tax를 실제로 활동하는 국가에 납부하도록 하는 방안을 - 2023년부터 시행되도록 합의 - 아일랜드, 헝가리, 에스토니아도 마지막에 가서 합의를 봄 → OECD 38개국, G20 모두 참여 - 합의는 2개의 pillar로 구성 - 1st pillar → OECD에 의하면, 100개의 글로벌 기업들로부터 $125bn이상의 세금을 추가로 징수할 수 있을 것 - 2nd pillar → 모든 국가들이 대기업들에게 15%의 세금을 매기도록 강제 → OECD에 의하면, 각국 정부는 매년 $150bn의 세금을 추가로 징수할 수 있을 것 - 국가들 간 조세 경쟁을 금지하는 것이 아닌, 최소한의 세금 부과 기준을 세우는 것이 목표 분석) - 코로나19, 기후변화, 빈부격차 등 각국 정부들의 재정 지출은 향후 상당한 기간 동안 증가 추세일 것 - 단순 몇 국가들에 한정된 이야기도 아니고, 선진국들도 재정 압박을 많이 느끼고 있기 때문에 이런 초국가적 합의가 가능했던 것으로 추정 - 해당 합의가 규제하는 기업들은 상당히 제한적, 1st pillar에 해당되는 것은 200억 유로(27조원) 이상의 매출과 10% 이상의 이익률을 올리는 기업 (https://www.facebook.com/sangmin.rhie.7/posts/6219332421442512)) → 해당 기업들이 이러한 규제로 운영에 결정적인 어려움을 겪을 것인지는 불분명하나, 아무래도 최근 글로벌 기업들에 대한 규제가 거세지고 있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비가 어느 정도 있었을 것이라 추정하면 사업 운영의 방향을 바꾸는 등 큰 변화는 없을 것 → 그러나 동일 산업 분야의 경쟁 기업들과 비교했을 때 불리해진 것은 사실 → 경쟁이 활발해지면 글로벌 기업들에게는 불리해도 산업, 경제 전반에는 활력이 돌 것 - 해당 합의를 통해 각 국 정부들이 글로벌 기업들에 행사하는 영향력이 증가하고, 내부 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는 점 또한 중요 → 각 국가들의 이슈(세금, 정책 관련)들을 본사 차원에서 일괄적으로 대응할 지, 지사들에게 권한을 줘 대응할 지 → 각 국가들의 특수성을 고려하면 지사의 권한 증대가 예상됨 → 서비스, 제품들만 수출하는 것이 아니라 조직을 수출해야된다는 면에서 진정한 글로벌 기업으로 진화

OECD deal imposes global minimum corporate tax of 15%

the Guardian

OECD deal imposes global minimum corporate tax of 15%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10월 9일 오전 2:46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전시회 부스 K31: VLM OCR 집중 시연

    ... 더 보기

    얼마 전 재미있는 일을 경험한 적이 있었다. 캠퍼스를 걸어가고 있는데 100m 앞 도서관 입구에 많은 사람들이 모여 있었다. 그 광경을 먼발치에서 지켜보던 일행 중에서 동료 교수 한 사람이 이렇게 말했다. “저기 뭐 안 좋은 일이 있나봐요? 사람들이 모여 있잖아요.”

    ... 더 보기

    스트레스가 무서운 이유 나쁜생각 악순환 부른다 [김경일의 CEO 심리학]

    n.news.naver.com

    스트레스가 무서운 이유 나쁜생각 악순환 부른다 [김경일의 CEO 심리학]

     • 

    저장 4 • 조회 1,135


    최근 어떤 기업의 창업자가 고향 주민들과 지인들에게 최대 1억 원씩 총 1,400억 원을 나누어 주었다는 언론 보도가 화제가 되었다. 우리나라에서 흔치 않은 ‘나눔’의 사례로 창업자가 도움받았던 사람들에게 보은하는 ‘감사의 정신’을 실천한 것이다.

    ... 더 보기

    기업가와 장사꾼의 차이 | 한국일보

    한국일보

    기업가와 장사꾼의 차이 | 한국일보

    여전히 나이를 중요하게 여기는 우리나라에서 사회생활할 때 가장 큰 변곡점이 오는 나이는 40세다. 물론 20대말과 30대 중반, 40대 중반, 50대에도 중간중간 크고 작은 변곡점이 있기는 하지만, 다시 돌이키기 어려울 정도로 이후 방향을 고착화시킨다는 의미에서, 혹은 현재 커리어패스가 중심이 아니라 이후 인생 2막이나 3막을 자발적이던 강제적이던 가야하는 상황은 아니라는 의미에서, 사회생활 시작과 함께 만들어온 커리어패스를 가지고 일을 할 수 있다는 기준에서 볼 때, 40세는 상징적이다.


    60세면 당연히 할아버지, 할머니 소리를 들으면서 70세 전후에 죽는게 당연했던 불과 20여년 전까지만해도 예전의 40세는 일하고 있는 산업과 분야에서 전문성과 리더십을 충분히 갖추고 있는 베테랑으로 이제 그동안 쌓아온 역량과 네트워킹으로 퇴직할 때까지

    ... 더 보기

    < 당신이 바쁜데도 성과가 없는 이유 >

    1. '바쁘다'는 건 열심히 많은 일을 하고 있다는 뜻이다.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15 • 조회 1,400


    우리가 하는 ‘회사 일’은 대부분 사람으로부터 배우게 된다. 그만큼 그 일을 가르쳐 주는 이가 누구인가에 따라 나의 퍼포먼스도 일부 결정된다. 그(녀)가, 나를 키우려는 능력과 자질, 충분한 노력을 하려는 사람인지 아닌지에 따라 나의 실력은 평범해질 수도 혹은 일취월장하여 청출어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 더 보기

    [직장생존을 위한 비즈니스] 좋은 ‘사수’에게 발견할 수 있는 5가지 특별함 - 모비인사이드 MOBIINSIDE

    모비인사이드 MOBIINSIDE

    [직장생존을 위한 비즈니스] 좋은 ‘사수’에게 발견할 수 있는 5가지 특별함 - 모비인사이드 MOBIINSIDE

     • 

    조회 4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