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pper Labs와 Flow에 관해서 간단하게 공부해보았음. NFT를 주력으로 하는 회사. 사실상 NFT 창시해낸 회사다 (첫 크립토 유즈케이스였던 크립토키티와 대중화된 최초의 NFT라고 볼 수 있는 NBA Topshot 만듬).실제로 CTO가 ERC-721 만들어낸 사람. 주로 스포츠 파트너십을 통해 IP 획득해서 사업 진행 (NBA, UFC , NFL, 라리가 등). 추가로 워너뮤직, 유비소프트와도 협업 관계 최근엔 버추얼 인플루언서 Lil Miquela를 만든 Brud팀을 인수하고 → 여기 대표가 Dapper Collective라는 DAO를 위한 비즈니스를 이끌게 됨. 이 대표는 유명한 다오인 FWB를 만든 인물. 자체 토큰 Flow를 만들었음. 원래는 이더리움 기반으로 시작했지만 수수료 문제때문에 한계가 있다는걸 알고 완전히 처음부터 개발. 만드는데는 2년 소요. 이더리움 샤딩이나 레이어2가 나오게되도 복잡성이 올라가기 때문에 게임이나 소셜 네트워크 같은 서비스에는 어울리지 않는다고 판단. Flow의 특징은 Collection, Consensus, Execution, Verification로 노드의 역할을 구분해서 하나씩 분담화 → 속도를 올릴 수 있었음 Cadence라는 Flow를 위한 언어도 함께 개발. 이는 Resource-Oriented Programming으로, 페이스북의 Move 언어도 이와 비슷한 매커니즘을 가지고 있음. 코인리스트를 통해 토큰 세일을 진행. 16일에 락업이 풀렸는데, 세일 대비 100배 상승했음. 아직까지 생태계가 큰 편은 아님. 특히 디파이가 붙어주지 않아서 TVL이 다른 레이어1에 비해 밀림. 투자자는 a16z, USV가 대표적. 삼성벤처스, 구글벤처스 등도 들어가있음. 현재 기업가치는 $7.6b. Flow 시총은 $4.1b

Dapper Labs - Fun and games on the blockchain

Dapperlabs

Dapper Labs - Fun and games on the blockchain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10월 24일 오전 4:16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뇌를 가장 빠르게 바꾸는 3가지 방법 >

    1. 뇌를 재설계하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 더 보기


    기업 대표들 중에는 “우리는 직원 교육을 할 여유가 없다.”라고 거리낌없이 이야기하는 사람이 있는데, 안타깝게도 이런 생각을 지닌 기업에는 눈에 띄는 인재가 모이기 어렵다. 그러니 교육에 투자해야 한다. 그렇다고 덜컥 큰 돈을 쓰라는 의미는 아니다. 투자한다는 것은 돈을 써서 외부 연수를 시킨다는 의미 말고도, 사내에서 시간과 노력을 들여 교육을 한다는 뜻도 있다.

    ... 더 보기

    [기업성장 컨설팅] 성장하는 회사 사원 교육에 돈 쓰고 도태되는 회사 사원 교육에 무관심

    미래를 보는 신문 - 전자신문

    [기업성장 컨설팅] 성장하는 회사 사원 교육에 돈 쓰고 도태되는 회사 사원 교육에 무관심

    삼성이 단기간에 대규모 펀드를 만든 것은 2021년 이후 4년 만이다. 당시에는 한 해 동안 6개 펀드를 통해 총 5400억원을 마련했다. 이후 투자 규모는 점차 축소돼 2023년 조성된 펀드는 총 1200억원에 그쳤다. 이번에 결성될 4600억원 규모의 펀드는 삼성이 본격적인 투자 재개에 나섰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 더 보기

    삼성벤처투자, 계열사 출자로 4600억 펀드 결성…대규모 투자 '신호탄'

    블로터

    삼성벤처투자, 계열사 출자로 4600억 펀드 결성…대규모 투자 '신호탄'


    < 해결책 과잉 시대, 이제는 의미가 답이다 >

    1. 과거에는 해결해야 할 문제가 해결책의 양을 크게 웃돌았습니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