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어유 vs 위버스] "뭐가 더 낫다, 못하다 할 순 없습니다. 겉보기엔 비슷하지만 실제 사업모델은 다르기 때문이죠. 위버스는 다음카페+트위터 느낌인데(아티스트들 사진과 글 보는 건 공짜), 실제 수익은 앨범·굿즈·공연 판매로 올리는 구조입니다. 좀더 유통 플랫폼에 가까움. 이에 비해 버블(디어유)은 유료 메신저서비스라는 구독경제 모델이죠. 여기에 앞으로 제페토 같은 메타버스를 더하겠다는 포부. 덩치(매출)로는 위버스를 따라가기 어렵지만 돈 버는 능력 면에선 전혀 밀리지 않습니다." -SM엔터테인먼트의 손자회사 '디어유', 2대주주는 JYP -23개 기획사의 아티스트 229명이 활동 중 -유료구독수 120만건을 돌파, 구독자의 71%는 해외(중국 19%, 일본 12%, 동남아시아 14% 등) -지난해 적자(연매출액 130억원, 영업이익 –5억원)였지만, 올 상반기 흑자전환(상반기 매출액 184억원, 영업이익 66억원), 영업이익률 36%

🗨돈 벌 줄 아는 '팬덤 전용 메신저'가 메타버스를 만난다?

팁스터

🗨돈 벌 줄 아는 '팬덤 전용 메신저'가 메타버스를 만난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10월 29일 오전 5:38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대기업 직장에서 잘린 이유?

    ... 더 보기

    기업 대표들 중에는 “우리는 직원 교육을 할 여유가 없다.”라고 거리낌없이 이야기하는 사람이 있는데, 안타깝게도 이런 생각을 지닌 기업에는 눈에 띄는 인재가 모이기 어렵다. 그러니 교육에 투자해야 한다. 그렇다고 덜컥 큰 돈을 쓰라는 의미는 아니다. 투자한다는 것은 돈을 써서 외부 연수를 시킨다는 의미 말고도, 사내에서 시간과 노력을 들여 교육을 한다는 뜻도 있다.

    ... 더 보기

    [기업성장 컨설팅] 성장하는 회사 사원 교육에 돈 쓰고 도태되는 회사 사원 교육에 무관심

    미래를 보는 신문 - 전자신문

    [기업성장 컨설팅] 성장하는 회사 사원 교육에 돈 쓰고 도태되는 회사 사원 교육에 무관심

    Eventually Consistent

    D

    ... 더 보기

    삼성이 단기간에 대규모 펀드를 만든 것은 2021년 이후 4년 만이다. 당시에는 한 해 동안 6개 펀드를 통해 총 5400억원을 마련했다. 이후 투자 규모는 점차 축소돼 2023년 조성된 펀드는 총 1200억원에 그쳤다. 이번에 결성될 4600억원 규모의 펀드는 삼성이 본격적인 투자 재개에 나섰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 더 보기

    삼성벤처투자, 계열사 출자로 4600억 펀드 결성…대규모 투자 '신호탄'

    블로터

    삼성벤처투자, 계열사 출자로 4600억 펀드 결성…대규모 투자 '신호탄'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 더 보기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K리그 프로그래머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 

    저장 9 • 조회 2,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