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영화관 하루 관객수가 3만명대로 2004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고 미국에서도 1, 2위 극장 체인인 AMC와 리걸시네마가 무기한 영업 중단에 들어갈 정도로 영화산업 또한 코로나로 크게 위협을 받고 있는데요. 영화관 경영난이 한국영화계의 위기라는 말을 이해하기 위해선 티켓 수익 배분 구조를 살펴봐야 합니다. 가령 관객이 티켓 값으로 1만원을 내면 10%는 부가가치세, 3%는 영화발전기금으로 나가고 그 나머지를 극장과 배급사가 각각 45%와 55%로 배분(CGV, 롯데 기준) 합니다. 그 다음 나머지에서 제작비를 제외하고도 이익이 나면 투자사와 제작사가 6대4로 나눠 갖는 구조 인데요. 영화산업 밸류체인에 얽혀있는 많은 사업들이 현재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지만 예전 수준으로 관객이 회복되려면 상당한 기간이 걸릴 것으로 관측되는 만큼 이번 코로나 사태가 한국 영화계에도 큰 위기가 될것 같아 걱정이 됩니다.

영화관엔 관객 고작 11명...투자→제작→배급사 연쇄침몰

n.news.naver.com

영화관엔 관객 고작 11명...투자→제작→배급사 연쇄침몰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3월 18일 오전 12:46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 더 보기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K리그 프로그래머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 

    저장 11 • 조회 2,496


    기업 대표들 중에는 “우리는 직원 교육을 할 여유가 없다.”라고 거리낌없이 이야기하는 사람이 있는데, 안타깝게도 이런 생각을 지닌 기업에는 눈에 띄는 인재가 모이기 어렵다. 그러니 교육에 투자해야 한다. 그렇다고 덜컥 큰 돈을 쓰라는 의미는 아니다. 투자한다는 것은 돈을 써서 외부 연수를 시킨다는 의미 말고도, 사내에서 시간과 노력을 들여 교육을 한다는 뜻도 있다.

    ... 더 보기

    [기업성장 컨설팅] 성장하는 회사 사원 교육에 돈 쓰고 도태되는 회사 사원 교육에 무관심

    미래를 보는 신문 - 전자신문

    [기업성장 컨설팅] 성장하는 회사 사원 교육에 돈 쓰고 도태되는 회사 사원 교육에 무관심

    《희고 흰, 흰색에 흰색》

    ... 더 보기

     • 

    저장 3 • 조회 627


    ChatGPT 버전명 설명

    ChatGPT 사용할 때 어떤 모델을 선택해야할지 망설여집니다. 모델명만 봐서는 어떤게 좋은지 모르겠더라고요.

    ... 더 보기

    대기업 직장에서 잘린 이유?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