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세대가 발견하는 UX 서비스의 새로운 쓸모
Brunch Story
[Z세대가 발견하는 UX 서비스의 새로운 쓸모] '쓸모'에 따라 커스터마이징하는 Z세대 1) IT 기기에 익숙한 Z세대는 알고리즘을 본인의 쓸모에 맞게 사용 (기록 삭제, 초기화, 콘텐츠 기록 추가 -> 알고리즘을 고도화하여 원하는 형태로 변형) 2) 하나의 서비스에 여러개의 계정 사용 각 계정마다 콘셉트를 부여하여 셀프브랜딩용으로 활용 -> 서비스가 제공하는 기본 기능의 용도를 전혀 다른 표현 방식으로 바꿈 Ex. 인스타그램, 굿노트, iOS 홈 위젯 커스텀 3) 짧고 단발적인 콘텐츠 선호 Ex. 틱톡 최대 60초 이내 영상 제작 Ex. 인스타그램 스토리, 릴스 '자본주의 키즈'에 맞춰 변하는 서비스 1) 경제적으로 구매력이 약한 z세대의 상황 보완 -> Z세대 플랫폼의 구매자의 11%가 40대이기에 부모의 구매 의사 결정에 z세대의 영향력이 있음 Ex. 토스 소액 주식 추천 Ex. 카카오 주식선물하기 Ex. 스타일쉐어 선물 요청하기
2021년 11월 16일 오전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