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디지털 일자리 사업 6개월간의 행보] #4. 인간관계는 거울이야. 너가 그렇게 살아온게 “정답”이 아니라고. 돈과 일로 엮인 사이는 아무래도 조심스럽습니다. 저 역시 학교의 울타리 안에 오래있다 보니 제대로 된 사회생활과 외부 비즈니스적인 관계에 대해 익숙하지 않아 남을 대하는 것에도 매우 신경을 쓰며 적절한 거리감을 유지하고자 하는 편입니다. 처음 만난 이곳에서도 나를 어느정도 오픈할 것인가, 하지만 그런 선들을 너무 티 나지 않게 하기위한 저만의 투명한 문들이 많이 설정하는 타입이예요! 다른 분들은 사내에서의 관계/비즈니스 속에서의 그런 관계들을 어떻게 관리해 나가시는지 궁금하기도 하네용😶 아무쪼록 다시 돌아오자면, 대표언니와도 콘텐츠 상의를 하면서 깊은 고민들까지 도달하느라 결국 그날 콘텐츠를 아예 만들지 못하고 근본적인 생각들을 나눌 만큼 지향하는 방향과 말들이 잘 통했습니다. 두 달 동안 지내면서 일에 관한 것 만큼은 너무 잘 맞는다는 확신이 들었구요! 그러다 5월에 대학교 동기 친구를 만났는데요, 잘 지내고 있는지/일은 잘 하고 있는지 등등 근황을 주고받았습니다. 회사가 아직 너무 작고 미약하지만 내가 하는 일에 일단 만족도도 높고, 대표 언니랑도 일적으로도 말이 잘 통해서 할만하고, 재밌다. 라고 긍정적인 후기들을 풀어놓았을 때, 돌아왔던 반응이 생각보다 싸늘했습니다. 그 친구는 아무래도 저보다 조금 더 일찍 음악관련 회사 일을 경험해 본 친구였었는데 너무 다 믿지 말라고 그러면 써먹히기 딱 좋을 타입이라고 이야기를 하더군요. 년수로 7년을 본 친구는 어느 정도 저의 성향을 알고 있어서 위해 준다고 해준 말인 것은 이해가 가지마는 썩 달갑지 않았어요. 아무리 마음을 열었다고 하여 바보같이 아이디어를 다 쏟는 바보가 어디 있겠습니까.. 저는 끊임없이 아이디어를 쏟아내는 타입이긴 하지마는 회사와 저의 관계는 서로서로 도움을 주고받는 것이고, 그 안에서 자신만의 커리어를 꼭꼭 챙겨가는 공간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 친구가 대표언니와 전공이 같았는데 자신의 전공을 가진 다른 사람들을 믿지 않은 특성을 바탕으로 ‘그쪽은 다 그렇고 그래’ 라는 뉘앙스로 이야기를 덧붙혔습니다. 물론 저도 썩 좋아하지 않는 특정 전공이 있다마는.. 뻔히 잘 다니고 있는 친구에게 꼭 그렇게 말을 해야하나. 싶기도 하면서도 여기저기 많이 느꼈던 경험을 바탕으로 저를 위해주며 말해 준 것도 이해가 가고.. 기분이 나쁘면서도 이해가 가면서도 ... 내가 마음을 이만치 연 것이 진짜 호구처럼 행동한 것인지 제 스스로 의심도 하면서도 매일 보고 이야기를 나누는 대표언니를 보고 있자니 그렇게까지 뒷통수(?)를 치는 사람은 아닌데..(TMI:사람보는 눈과 촉이 꽤 정확한 편입니다🤧) 이 후에 한 동안 저의 행동에 스스로 가스라이팅을 했던 기간이 있었습니다. 2주정도 너무 괴로웠는데 저는 제 행동에 대해 결론을 내렸습니다. 그 친구가 해주었던 조언은 그 친구가 살아왔고, 그러한 삶을 살아온 바탕위에 그러한 사람을 만난 것이고, 저는 저대로 솔직하고 순박(?)하게 살아온 바탕위에 그러한 사람을 만났다는 것으로요. 그 친구의 뼈아픈 조언은 누군가에겐 정답이지마는 저에게 있어서 정답이 아니라는 것으로요. 뒤돌아 생각해보면 두 달내내 회사 일로 제가 희생되었다는 생각도 들지 않고, 개인적인 성장에도 도움이 되었다면 설사 대표언니가 뒷통수를 쳤다한들 제가 얻어간 것은 변함이 없을 것임을 깨닫고 제 행동에 대해 더 이상 의심하지 않고, 저는 저대로 할 일을 해나가면서 아이디어를 쏟아내기로 했습니다. 그리고 더 마음과 생각이 편해졌습니다. 이렇게 잘 맞는 파트너가 있다는 것에 겸손히, 감사하며 나아가려고 결정했어요! 사회생활 속 인간관계, “이렇게/저렇게 하면 내가 더 손해 보지는 않을까?“ 서로 간에 계산을 안 할 수는 없지마는 계산으로만. 이루어질 수 없는 것이 관계라고 생각합니다. 단, 자기 것을 잃지 않을 선에서 마음과 정성을 주는 것은 어느 관계든 늘 필요하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던,, 조금 성숙할 수 있었던(?) 제 5월이었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11월 19일 오전 10:17

조회 262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최고의 리더가 되기 위한 덕목을 알려주는 지식은 수없이 많다. 대표적인 것이 2008년 구글이 발표한 ‘산소 프로젝트’다. 구글은 이 프로젝트를 통해 팀장급 이상 관리자의 인사자료 1만 건에 대한 데이터 분석을 실시했다.

    ... 더 보기

    ‘최악의 리더십’ 평가 받은 리더들의 공통적 특징 살펴보니…

    비즈N

    ‘최악의 리더십’ 평가 받은 리더들의 공통적 특징 살펴보니…

    경험담)섣불리 판단하면 안되는 이유?


    주말에 한식 뷔페에서 식사하던 중,

    ... 더 보기

    👕무신사가 마뗑킴 일본 매장을 성공시킨 비결은

    ... 더 보기

    무신사가 마뗑킴 일본 매장을 성공시킨 비결은

    뉴닉

    무신사가 마뗑킴 일본 매장을 성공시킨 비결은

    < 초동 100만 장, 그런데 팬은 어디 있죠? - 엔터 테크와 데이터로

    1

    ... 더 보기

    < '모든 것을 받아들이기'의 진짜 의미 >

    1. 아무것도 기대하지 않으면 현재를 살게 된다.

    ... 더 보기

    네이버가 미국 실리콘밸리에 네이버벤처스를 설립한다. 투자를 전문으로 하는 신규 자회사다. 글로벌 인공지능(AI) 기술과 인재를 현지에서 적극 발굴해 네이버의 AI 전략과 시너지를 내겠다는 계획인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 3월 이사회 의장으로 복귀한 이해진 창업자(사진)가 AI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던진 승부수라는 해석이 나온다.

    ... 더 보기

    실리콘밸리에 VC 만드는 네이버…"AI 총력전"

    한국경제

    실리콘밸리에 VC 만드는 네이버…"AI 총력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