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위기 파악 1 :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지금은 같은가 다른가? *특정 이슈에 대해 잘 정리된 기사를 발견하면 소개해드릴께요. 오늘은 금융입니다. 침울하던 금융시장이 안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일주일 전까지만해도 대침체가 시작된다는 반응이 많았지만, 미국 의회가 2조 달러 규모의 경기부양책을 통과시킨 이후 시장 분위기가 급변하고 있습니다. 서뿌른 기대지만, U자(상당기간의 침체를 겪은 뒤 경기회복), L자(장기침체)가 아닌 V자 회복(짧은 침체 후 곧바로 강한 회복)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한참 위기감이 고조되던 일주일 전 뉴스를 큐레이션하는 것은 좀 늦은 거죠. 하지만 소개해 드리는 이 기사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올해의 코로나19 바이러스발 금융시장 발작(아직 금융위기라고 칭하기엔 이르네요)을 잘 비교,정리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경제와 금융에 익숙하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모르고 넘어가시기엔 찜찜한 밀레니얼 들에게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신문 지면 1 페이지 분량의 기사라 스마트폰으로는 읽기가 버거우실 거예요. 링크를 복붙하셔서 프린터로 인쇄해서 보시길 권해드립니다. 요약하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는 금융기관 연쇄 붕괴가 실물 경제 붕괴로 이어질뻔 한 것을 미국 중앙은행(Fed, 한국은 한국은행)의 엄청난 돈 풀기와 국제 공조로 막아낸 것입니다. 반면 지금은 바이러스 확산으로 인한 실물경제 올스톱 현상이 금융시장 폭락을 유발했고, 중앙은행의 돈 풀기 위력이 예전만 못하며, 국제 공조도 잘 되지 않았다는 점이 다릅니다. 지식이 뒷받침 될때, 내가 하는 행동에 자신감이 실립니다. 소화시키기는 쉽지 않더라도, 잘 정리된 기사 한 편 긴 호흡으로 읽으시며 지식을 충전하시길 바랍니다.

2008년 금융위기 데자뷔?...'팬데믹' 세계경제 어디로 가나

한겨레

2008년 금융위기 데자뷔?...'팬데믹' 세계경제 어디로 가나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3월 25일 오후 4:00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OpenAI가 발표한 Codex의 핵심은 AI와 함께 진짜 팀으로 일하는 것 같은 경험을 준다는거네요.


    기존의 코딩 어시스턴트는 Agent라는 이름을 붙였어도 결국은 자동완성의 확장에 그치는 것이라, 즉, 나의 뇌를 확장하는 것이라 한계가 좀 명확했는데요.


    ... 더 보기

    중요한 일부터 해라...250519

    1.●책은 그 모든 것이다.
    2.●독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재미이다.

    ... 더 보기

    타입 안전한 API 모킹으로 프론트엔드 생산성 높이기

    이번에 우아한형제들 기술 블로그에 "타입 안전한 API 모킹으로 프론트엔드 생산성 높이기"라는 새 글을 발행하게 되었습니다.

    ... 더 보기

    [성장하는 데이터 분석가에게 필요한 3가지 마인드셋] 2

    지난 시간에 이어서 데이터 분석가가 성장하기 위해 필요한 3가지 마인드셋(Mindset)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여기서 마인드셋(Mindset)은 하나의 가치관 또는 사고 방식이라고 이해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성장하는 데이터 분석가는 1. 분석적 사고(Analytical mindset) 2. 문제-해결 논리(Problem-solving Approach) 3. 의사소통 (Communicational mindset) 이 3가지를 갖추어야 합니다. 그럼 두번째 문제-해결 논리에 대해 이야기 해볼까요? [... 더 보기

    프론트엔드의 역사 with React,Typescript,Next.js

    개발을 아예 모르거나 다른 개발은 알고있지만 프론트엔드와 웹에대한 지식은 없는 분들에게 프론트엔드의 기술스택이 나온 이유를 쉽게 설명하기위해 작성된 글입니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