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테리어 사업을 브랜드화 한 '아파트멘터리' 1️⃣ 사업을 하기로 마음먹고 어떤 비즈니스 기회를 보았나요? - 리모델링 분야에는 3만 개의 시공업체가 있는데 서비스가 표준화되지 않았고, 소비자들이 이 시장을 신뢰하기 어렵겠다는 점을 발견해 기회로 잡았습니다. 아파트멘터리의 지향점은 합리적 가격의 고품질 서비스입니다. 조금 더 비싸도 오래 쓸 수 있는 자재와 마감으로 제안합니다. 2️⃣ 오늘의집, 집닥 등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이 존재합니다. 아파트멘터리는 어떤 차별점이 있나요? - 인테리어 디자이너가 운영하는 회사는 그 자체로는 의미가 있지만, 유니콘 화할 수 없는 구조라고 봤던 거죠. 리모델링 플랫폼들은 기존 3만 개 업체 중 우수 업체를 소개해 준다는 개념이고, 아파트멘터리는 3만 개 중에서 1등이 되겠다는 게 목표라 좀 다릅니다. 우리는 멜론이 아니라 SM엔터테인먼트가 되겠다는 겁니다. 3️⃣ 아파트에만 집중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 바로 한국형 아파트이기 때문에 모듈화가 가능하다고 봤습니다. 파트 브랜드 이름만 들어도 예상이 가능한 경험치가 있고, 이를 DB 화하고 있습니다. 단독주택은 경우의 수가 너무 많아서 시도하고 있지 않습니다. 4️⃣ CFC와 리브랜딩을, 플러스엑스와 웹사이트를 진행했습니다. - 디자인 스튜디오 느낌이 아니라 체계화되고 규모감 있는 이미지를 원했습니다. 세련된 느낌을 주기보다는 신뢰도가 높은 브랜딩이 필요하다고 봤습니다. 🤔 인테리어 디자인 회사와 브랜드 디자인 회사는 비슷한 구조라고 생각했고, 그렇기 때문에 확장성이 떨어진다고 여겼다. 그런데 이것을 이렇게 모듈화하고 체계적으로 정리하니 하나의 브랜드가 될 수도 있고, 확장하여 유니콘을 바라볼 수 있는 구조가 만들어졌다. 참고할만한 사례.

한국형 아파트 리모델링의 라이징 스타. 윤소연 아파트멘터리 대표

Naver

한국형 아파트 리모델링의 라이징 스타. 윤소연 아파트멘터리 대표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12월 6일 오전 10:22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요구사항 정의 시 고객사 실무부서 간 의견이 상충될 때 대응방안

    이하 내용은 CASE STUDY 방식으로 정리한 가상의 시나리오입니다.  SI 프로젝트에서 이런 상황에 직면하면 어떻게 대응하는 것이 좋을지 생각해 보세요.

    ... 더 보기

    서비스 개발에 필요한 "AI의 특징"에 대한 이해

    AI가 기존 프로덕트와는 다른 여러 고유한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있는데, 이 특징에 대해서 구글(Google)의 AI PM인 Marily Nika는 Building AI-Powered Products란 책에 잘 정리해서 요약했습니다.

    ... 더 보기

    포트폴리오, 리얼하게 시작하는 법

    <포트폴리오, 리얼하게 시작하는 법>

    ... 더 보기

    Allen Pike의 에세이 「Post-Chat UI」

    ... 더 보기

    Post-Chat UI

    Allen Pike

    Post-Chat UI

    프롬프트 기획 과정 공유 - 경쟁사 고객 리뷰 분석

    ... 더 보기

    프롬프트 기획 과정 공유 - 경쟁사 고객 리뷰 분석

    Brunch Story

    프롬프트 기획 과정 공유 - 경쟁사 고객 리뷰 분석

     • 

    댓글 1 • 저장 8 • 조회 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