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기심이 깊은 몰입으로 이어질 수 있다면 그건 장려할 일입니다. 심리학적으로 호기심은 사고(thinking) 혹은 숙고(deliberation)의 원동력이라고들 하죠. 그리고 한 분야에 대한 깊은 생각이 지속되면 곧 몰입 상태가 됩니다. 이 몰입 상태에서 업무적 혁신과 창조가 나옵니다. 자기 주력 직무에 대한 숙고를 지속시켜 몰입으로 이어지게 하는 게 ‘긍정적’ 호기심을 위한 관건인 것이죠. <내용 중>

직장인에게 호기심이란?

Remember Now

직장인에게 호기심이란?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12월 11일 오전 3:27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얼마전에 신입 개발자 채용시 과제를 10분 내에 빠르게 만들어서 보낸 사람을 채용했다며, 빠르게 결과를 냈기 때문에 채용했다는 글이 SNS에 많이 돌았다. 그러면서 이렇게 말한다.


    "알고리즘 많이 푸는 개발자보다, AI로 빠르게 결과 내는 사람을 선호. 알고리즘, 코딩 책 안 봐도 AI 도구만 적극 활용하면 취업 기회 잡을 수 있다."


    ... 더 보기

     • 

    저장 19 • 조회 5,021


    < 쿠팡의 창업자를 직접 보며 배운 것: 리더의 크기가 전부다 >

    1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14 • 조회 1,366


    스트레스를 잘 관리하면서 건강하게 살아가고 싶다면, 우선 살아있는 한 우리가 해야 할 일들은 영원히 없어지지 않을 것이므로, 해야 할 일을 100% 해내면서 할 일 목록을 완전히 없애는 데 많은 노력을 들이기보다는 70% 정도만 해내도 만족할 필요가 있다.

    ... 더 보기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스스로 만들어 내는 스트레스

    m.dongascience.com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스스로 만들어 내는 스트레스


    🎈2025 NYU REUNION DAY! 테헤란로 소진언니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