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많은 회사들이 코로나 사태에 대응하면서 각종 화상회의 서비스들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줌(Zoom)의 강세가 눈에 띄는데요. 스카이프, 행아웃, Whereby 등 수많은 플레이어가 있는 가운데 줌(https://zoom.us/)이 부상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줌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손쉬운 사용성, 무료 비즈니스 모델에서도 강력한 다수 화상회의 기능 등을 그 이유로 꼽습니다. 실제로 줌을 사용해보면 처음 사용하도 별다른 어려움 없이 쉽게 사용할 수 있기에 좋은 인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무료 모델에서도 100명의 참가자 호스트가 지원되며, 서버 운영 및 서비스 운영에도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 웨비나 같은 웹 이벤트도 Zoom을 사용해서 열리곤 합니다. 기본적인 기능에 충실할뿐만 아니라 다양한 개인화 도구를 갖추고 있어서 각 유저들의 입맛을 만족시키려는 노력 또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충실한 기능과 쉬운 UI, 그리고 합리적인 비즈니스 플랜 등이 어우러져 생긴 결과라고 할 수 있는데요. 코로나 사태를 맞아 다양한 기업들이 비디오 운영 솔루션을 찾는 현실에서 가장 능동적으로 대처를 하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스카이프 대신 줌(Zoom)이 화상회의 앱의 대명사로 뜨는 이유

(주)블로터앤미디어

스카이프 대신 줌(Zoom)이 화상회의 앱의 대명사로 뜨는 이유

2020년 3월 31일 오후 1:40

댓글 0

주간 인기 TOP 10

지난주 커리어리에서 인기 있던 게시물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