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3를 두고, 트위터에서 잭 도시와 일론 머스크 vs. a16z 사이의 블락전쟁이 일어났네요. (편을 가르자면 이렇습니다) Web3는 인터넷 상에서 ‘신뢰와 좋은 의도’ 같은 것들을 블록체인 기술에 내재된 투명성 및 암호화 등으로 대체하겠다는 개념입니다. 기존의 이상(ideal)이었던 탈중앙화 컴퓨터 네트워크와는 다릅니다. 벤처캐피털인 a16z는 여기에 어마어마 하게 투자를 하고 있어요. 지금까지 30억 달러(약 3조6천억 원)를 투자했는데요. 그래서 잭 도시는 벤처캐피털이 web3를 ‘소유’한 형국이다라고 쎄게 이야기했습니다. 일론 머스크 역시 web3가 신념이나 견고한 믿음이라기보다는 마케팅에 가깝다고 주장했고요. 세일즈포스의 마크 베니오프, IT 기자 카라 스위셔 역시 잭 도시에게 동조하는 트윗을 했어요. 그 동안 팀 오라일리는 트위터가 아닌 장문의 글로 web3가 ‘어디에 왜 적용해야 하는지’ 반드시 자문해야 한다고 강력하게 주장했어요. a16z의 투자 사례들이 게임, 금융, NFT 등으로 ‘장황하다’면서요. Web3의 인터페이스, 용례 등 실제 서비스를 만들고 널리 퍼뜨리는 작업에 대한 관심이 그저 돈으로 모여서 ‘금융 투기’가 되어버렸으나 이제는 정말 ‘기회’를 찾을 때라고 주장해요. 결론적으로 ‘Web3, 암호화폐는 금융의 미래일 수 있지만 아직 이르다!’고 확정합니다. 다시금 테크 영역에서 어지럽고 어려운 논란, 쟁점들이 나오고 있어요. 재미있기도 하지만, 이미 디지털화되고 온라인화 된 우리에게는 미래가 달려있는 내용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web3의 비전, 그러니까 신뢰, 탈중앙화, 보안, 아이덴티티 등의 가치에 조금 더 집중하는 방향으로 논의가 흘러가면 좋겠습니다. *참고: https://www.theverge.com/2021/12/21/22848162/jack-dorsey-web3-criticism-a16z-ownership-venture-capital-twitter

웹2.0 창시자 "웹3에 흥분하기엔 너무 이르다" 왜?

Brunch Story

웹2.0 창시자 "웹3에 흥분하기엔 너무 이르다" 왜?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12월 24일 오전 1:53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PM이 이해하면 좋은 지표 개념

    프로덕트 매니저(PM)로 일하면서 늘 지표 이야기를 듣게 됩니다. 대부분 PM은 선행지표(leading indicator)와 후행지표(lagging indicator)의 개념을 잘 이해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선행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인풋(input) 지표, '아웃풋(o

    ... 더 보기

    🙉 달레의 찐팬이 되어주실래요? 💕

    ... 더 보기

    얼마전에 신입 개발자 채용시 과제를 10분 내에 빠르게 만들어서 보낸 사람을 채용했다며, 빠르게 결과를 냈기 때문에 채용했다는 글이 SNS에 많이 돌았다. 그러면서 이렇게 말한다.


    "알고리즘 많이 푸는 개발자보다, AI로 빠르게 결과 내는 사람을 선호. 알고리즘, 코딩 책 안 봐도 AI 도구만 적극 활용하면 취업 기회 잡을 수 있다."


    ... 더 보기

     • 

    저장 19 • 조회 4,951


    < 쿠팡의 창업자를 직접 보며 배운 것: 리더의 크기가 전부다 >

    1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11 • 조회 1,225


    “우리가 작은 전투 몇 개를 이기는데만 집중해서 전쟁에 진다면 창피할 것이다. 스타트업에서 전쟁이란 살아남는 것이다. 전쟁이란 제품을 시장에 내 놓기 전에 돈이 떨어지지 않게 하는 것이다.” - 스티브 잡스


    《론 뮤익이 평범함을 바라보게 하는 방법》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