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성을 높이는 시간관리 - 타임블록]
✍🏻할일을 정리하고 타임블록에 구체적인 업무를 할당한다.
(타임블록은 내가 쓸 수 있는 시간을 30분단위로 만드는 것을 말한다.)
1.(먼저) 오전에 기상해서 해야할일을 리스트에 적고 우선순위를 세운다.
30분 동안 계획을 세우고, 그 주, 그 달 업무 큰 그림을 생각하면서 작성한다.
2.타임블록을 만들어 구체적인 업무를 할당한다. 이 때 쉬는 시간, 조건부 블록도 같이 배치한다.
(조건부 블록은 무언가 끝내지 못했을 때 처리할 수 있도록 여유시간을 남겨두는 것이다.)
3.이 일을 이 시간 안에 끝내야겠다는 생각이 정리되어 몰입이 더 잘 된다.
🧱연속되는 타임블록을 만들기
1.혼자 집중해서 일할 시간이 필요한데, 회의가 너무 많아서 집중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2.(그래서) 캘린더에 먼저 일할 시간을 잡아두고, 가능한 미팅을 몰아서 잡는다.
인생도구 더하기⚒
1.연속된 시간 만들기
타임블록은 피터드러커의 자기경영노트, 칼뉴포트의 딥워크 등 생산성 관련 책에서 공통적으로 이야기하고 있는 부분이다.
_
사람들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연속된 시간이 필요하다. 4시간이 걸리는 업무를 10분씩 24번해서 업무를 끝낼 수는 없다. 2시간씩 2번에 끝냈을 때 업무의 퀄리티나 소요되는 시간 자체도 확연히 차이가 나게된다.
_
왜냐하면 인간은 (우리가 착각하는 것과는 다르게)멀티태스킹을 할 수 없으며 업무 사이사이에 집중하기 위한 전환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2.느슨한 스케줄링
생산성을 더 높이고 싶고, 시간관리를 더 잘하고 싶은 사람들은 아무래도 계획을 빼곡하게 채워넣게 된다.
_
잘 쉬는것도 생산성을 높이는 시간인 것을 인지하고 어느정도 여유있게 작성하는게 필요하다. 뭐든지 균형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너무 과할 경우 쉽게 지치고 감정적으로 힘들기때문에 오래가지 못하는 것 같다.
나를 위해서 지속할 수 있는 힘을 만들어두는게 중요한 것 같다
플래너 작성 시 지금 내가 쓸 수 있는 시간이 얼마큼인지 타임블록을 만들고, 꼭꼭 중간중간에 조건부블록을 만들어두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