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에 대한 나만의 기준을 가지고 싶다면 : 워크로그> 업무에 부쩍 회의감이 들고 고민이 많아졌다면?😔 일에 대한 나만의 기준을 가지고 싶다면?🤔 뚜렷한 방향성을 가지고 커리어를 쌓고 싶다면?🧐 몰랐던 무한한 가능성을 발견하는 방법, 워크로그로 시작해보세요! ✍️워크로그란? 나의 업무, 일과 관련하여 내가 잘 해낸 것과 시행착오를 통해 깨닫게 된 것을 돌아보고, 어떤 부분이 성장했고, 어떤 역량을 발휘했는지 살펴본 후 기록을 남기는 작업을 말해요. 블로그가 MZ세대의 트렌드로 다시 떠오른 것처럼, 기록의 의미와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는 요즘인데요 :) 꾸준한 기록은, 내가 가진 여러 경험들 속에서 새로운 의미를 찾아주고 나의 시간을 보다 주체적으로 쓸 수 있게끔 이끌어줍니다. 오늘은 퍼블리 아티클 '워크로그 작성법'을 살펴보고 나만의 워크로그를 작성해보면 어떨까요? 나도 몰랐던 내 강점과 가능성을 가득 발견할 수 있을거에요! ✏️워크로그 작성 꿀팁 1️⃣ STEP1 : 내가 가진 일 경험 중,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고 싶은 경험 선정하기 (EX👉 리더십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던 경험) 2️⃣ STEP2 : 해당 경험의 전반적인 내용 작성하기 (EX👉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만난 참여자들의 리더십 관련 에피소드, 내가 일하면서 만난 리더들에 대한 경험) 3️⃣ STEP3 : 그 경험에 관한 나의 감정 혹은 깨달음 작성하기 (EX👉 완벽한 리더가 되려고 애쓰기보다 각자 최선과 취약함을 잘 드러내는 리더가 되자) 4️⃣ STEP4 : 읽는 사람들이 나의 관점을 알기 쉽도록 그 깨달음과 유사한 예시(최근에 본 책이나 콘텐츠) 곁들이기 (EX👉 '스트릿우먼 파이터' 에서 드러난 다양한 리더의 역량) (자세한 작성 꿀팁은 링크를 통해 확인해보세요!) ✏️워크로그를 쓰면 뭐가 좋나요? 🔸일을 하면서 느꼈던 작은 성취와 아쉬움을 의미 없이 흘려보내지 않고, 배움과 깨달음으로 정리할 수 있고요, 🔸내가 요즘 어떤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일하고 있는지 스스로 파악해봄으로써, 🔸일에 관한 나만의 관점을 정리할 수 있습니다 :) 💡"평생직장의 개념이 사라지고 개인이 주도적으로 일하는 시대일수록 내가 어떤 일을 했고, 그 일이 나에게 어떤 의미이며, 현재 내가 속한 조직에 어떤 기여를 했는지 자신의 언어로 말하는 역량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자신이 맡은 일을 가장 잘 아는 전문가는 자기 자신이어야 하니까요." (본문 중 발췌) 나만 알기 싫은 에피소드, 함께 나누고 싶은 인사이트가 있다면, 커리어리에 살짝 공유해주셔도 좋겠죠?💖 꾸준한 기록과 탐색으로 트렌드를 앞서가는 커리어리 유저분들의 더 나은 내일을 응원합니다!💪

1년 간 커리어를 돌아보는 워크로그 작성법 (워크시트 제공)

publy.co

1년 간 커리어를 돌아보는 워크로그 작성법 (워크시트 제공)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2년 1월 6일 오전 7:42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얼마전에 신입 개발자 채용시 과제를 10분 내에 빠르게 만들어서 보낸 사람을 채용했다며, 빠르게 결과를 냈기 때문에 채용했다는 글이 SNS에 많이 돌았다. 그러면서 이렇게 말한다.


    "알고리즘 많이 푸는 개발자보다, AI로 빠르게 결과 내는 사람을 선호. 알고리즘, 코딩 책 안 봐도 AI 도구만 적극 활용하면 취업 기회 잡을 수 있다."


    ... 더 보기

     • 

    저장 19 • 조회 4,956


    PM이 이해하면 좋은 지표 개념

    프로덕트 매니저(PM)로 일하면서 늘 지표 이야기를 듣게 됩니다. 대부분 PM은 선행지표(leading indicator)와 후행지표(lagging indicator)의 개념을 잘 이해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선행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인풋(input) 지표, '아웃풋(o

    ... 더 보기

    훌륭한 데이터 분석가란 어떤 사람인가?

    ‘훌륭한 데이터 분석가란 어떤 사람인가?’에 대해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