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 스타트업이 유저 인터뷰를 해야 하는 이유> 1. 초기 스타트업이나 규모가 작은 조직이 그로스를 잘하려면, '정성 조사(qualitative research)'가 꼭 필요합니다 2. 정성 조사를 꼭 해야 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첫 번째는, (단순한) 정량적 데이터로는 '왜'를 알아낼 수 없기 때문입니다. 3. (그리고) '왜'를 이해하려면 고객들에게 물어보는 수밖에 없습니다. 왜 만족하고 왜 불만족하는지, 왜 계속 이용하고 왜 이탈하는지 이해하지 못한다면 좋은 제품을 만들 수 없습니다. 4. 두 번째는, (초기 스타트업에게는) 충분한 양의 정량적 데이터를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데이터 분석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가 '통계적 유의미성'입니다. 쉽게 말해 실험의 결과가 '우연'이 아니라는 걸 입증하려면 샘플 사이즈가 충분히 커야 한다는 것이죠. 5. 초기 스타트업은 사용자 수가 적기 때문에 통계적 유의미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따라서 정량적 데이터만으로는 의사결정에 한계가 있습니다.

성장으로 이어지는 고객 조사, 퍼블리는 이렇게 합니다

publy.co

성장으로 이어지는 고객 조사, 퍼블리는 이렇게 합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4월 12일 오후 2:37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ChatGPT 버전명 설명

    ChatGPT 사용할 때 어떤 모델을 선택해야할지 망설여집니다. 모델명만 봐서는 어떤게 좋은지 모르겠더라고요.

    ... 더 보기


    차세대 파이썬 패키지 매니저 uv 소개 영상

    h

    ... 더 보기

    🎯 유튜브에 100번째 코딩 테스트 문제 풀이 영상을 올렸습니다!

    ... 더 보기

    달레의 코딩 테스트

    www.youtube.com

    달레의 코딩 테스트

    중요한 일부터 해라...250519

    1.●책은 그 모든 것이다.
    2.●독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재미이다.

    ... 더 보기

    [성장하는 데이터 분석가에게 필요한 3가지 마인드셋] 2

    지난 시간에 이어서 데이터 분석가가 성장하기 위해 필요한 3가지 마인드셋(Mindset)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여기서 마인드셋(Mindset)은 하나의 가치관 또는 사고 방식이라고 이해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성장하는 데이터 분석가는 1. 분석적 사고(Analytical mindset) 2. 문제-해결 논리(Problem-solving Approach) 3. 의사소통 (Communicational mindset) 이 3가지를 갖추어야 합니다. 그럼 두번째 문제-해결 논리에 대해 이야기 해볼까요?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