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에서 창작 플랫폼으로> 1. 1990년대에 디지털 시대가 되면 도서관이 없어진다는 이야기가 돌기도 했지만, 결국 살아남았다. 2. 도서관이 단순히 책을 읽는 장소로만 존재한다면 위상이 낮아질 수밖에 없다. 지금은 유명인이 아닌 사람도 '지식 소비자'이자 '생산자'다. 그에 맞춰 도서관은 정보를 생산하는 플랫폼이자 다양한 창작 활동이 이뤄지는 기지가 돼야 한다.

"미래의 도서관은 정보 생산 플랫폼이자 창작기지" | 연합뉴스

연합뉴스

"미래의 도서관은 정보 생산 플랫폼이자 창작기지" | 연합뉴스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4월 15일 오전 8:10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한때 천만원에 거래되었던 Manus, Bedrock 무료 오픈소스로 공개

    ... 더 보기

    LinkedIn

    lnkd.in

    LinkedIn

    < 완벽한 계획은 없다, 그런데 왜 계획을 세울까? >

    1. 작전계획이란게 왜 필요한 걸까?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4 • 조회 897


    React 면접 전 살펴보기 위한 Q&A 40가지 (2024년 ver)

    1. R

    ... 더 보기

    Top 40 ReactJS Interview Questions and Answers in 2024 | Simplilearn

    Simplilearn.com

    Top 40 ReactJS Interview Questions and Answers in 2024 | Simplilearn

     • 

    댓글 1 • 저장 218 • 조회 11,577


    < '모든 것을 받아들이기'의 진짜 의미 >

    1. 아무것도 기대하지 않으면 현재를 살게 된다.

    ... 더 보기

    일 잘하는 사람은 AI를 어떻게 쓸까?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