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프로덕트를 만들다보면 다양한 상황에 직면합니다. 그 중에서 가장 빈번하게 벌어지는 것은 ‘어떤 일의 우선순위를 높여야하는지’에 대한 것일텐데요. 보통 이 논쟁에서 주요한 기준은 ‘시간’이 중요하냐, ‘퀄리티’가 중요하냐 입니다. 근데 정말 이 두가지가 가장 중요한 기준일까요? 페이스북의 Julie Zhou는 조금 다른 의견을 던집니다. ------------------------- ‘시간 or 퀄리티’의 트레이드 오프에서 정말로 던져야하는 질문은 “X라는 기능이 고퀄리티로 나오기 위해서 이렇게 오래 걸릴 것을 알았더라면, 애초에 이 일을 하기로 결정을 했어야 했을까?” 라는 것이죠. ------------------------- 이런 질문을 던져보는 것은 결과적으로 가장 중요한 일이 무엇인지 더 잘 선별하게 되고, 예산 기간 산정이 정확해지며, 일을 더 잘 실행할 수 있게 된다고 합니다. - 본 글은 페이스북의 디자인 VP인 Julie Zhou가 작성하였고 홍석희 님께서 번역해주셨습니다. 링크를 통해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글에서는 자세한 실행 리스트 역시 포함되어 있습니다 : )

모든 일을 고퀄리티로 처리하는 법

Brunch Story

모든 일을 고퀄리티로 처리하는 법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4월 17일 오전 6:08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야근의 관성

    제가 한국에서 직장 생활을 시작하고 가장 먼저 배운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야근이었습니다. 신입이었던 제게 야근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었거든요. 선배들에게 야근은 너무나 당연한 루틴이었고, 저녁 5시가 되면 "퇴근 안 해?"가 아니라 "저녁 뭐 먹을까?"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누가 정해놓은 것처럼 부장님이 퇴근해야 과장님이, 과장님이 퇴근해야 대리님이, 대리님이 퇴근해야 비로서 저 같은 신입도 퇴근 생각을 할 수 있었습니다.

    ... 더 보기

     • 

    저장 15 • 조회 3,809


    길은 잃은 이력서

    

    ... 더 보기

    < 왜 어떤 제품에만 '열광적인 팬'이 생길까요? >

    1

    ... 더 보기

    절대 폭락하지 않는 투자처

    ... 더 보기

    고용노동부에서 주관하는 청년미래플러스 3기를 모집 중이라고 합니다.

    구직자와 재직자 두 가지 트랙을 동시에 모집한다고 하네요.

    • 모집 기간: 6월 15일 ~ 8월 3일

    ... 더 보기

    특히 AI·바이오·우주항공 등 기술 난도가 높은 분야에선 검증된 경력직 심사역이 희소하기 때문에, 수억원의 연봉을 제시하는 오퍼가 현실화되고 있다는 평가다. 

    ... 더 보기

    "부르는 게 값"…VC업계, '즉시 전력감' 심사역 모시기 경쟁

    www.investchosun.com

    "부르는 게 값"…VC업계, '즉시 전력감' 심사역 모시기 경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