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이 반'이란 이야기가 있습니다. 어떤 목표를 세우고 그것을 시작하는 것도 중요한 진전이라는 의미겠죠. 비슷한 의미로 어떤 사람들은 목표를 세우면 그것을 주변 사람들에게 알리라고 조언합니다. 예를 들어 금연을 하겠다고 마음 먹었으면 주변 사람에게 자신의 계획을 이야기하면 스스로 책임감을 느끼게 되고 또 도움을 받아 그 계획을 달성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의미입니다. 하지만 몇몇 연구들은 '시작이 반'이라는 느낌을 조심해야 한다고 이야기합니다. 자신의 목표를 공유하는 순간 뭔가 한 것 같은 느낌이 들어서 실제로 그 일을 완수하는데 방해가 된다는 것이죠. (참조: https://www.ted.com/talks/derek_sivers_keep_your_goals_to_yourself?language=en#t-130776) 이 기사는 그 중간 어딘가의 해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자신의 계획을 주변에게 알려서 목표를 성취하는데 도움을 받고 싶다면 자신보다 나은 위치에 있는 사람에게 공유하는 편이 좋다는 것입니다. 그건 스스로 상대에게 어떻게 평가받는지에 대해서 의식하기 때문에 그 일을 해내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이죠. 주변에 자신의 계획을 공유하고 그 사람의 기대에 맞추어 목표를 이루고 싶은 멘토 또는 롤모델이 있는 것은 행운일지도 모릅니다.

Share your goals – but be careful whom you tell

Share your goals – but be careful whom you tell

Share your goals – but be careful whom you tell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19년 9월 11일 오후 6:48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ChatGPT 버전명 설명

    ChatGPT 사용할 때 어떤 모델을 선택해야할지 망설여집니다. 모델명만 봐서는 어떤게 좋은지 모르겠더라고요.

    ... 더 보기

    이직의 조건

    

    ... 더 보기

    타입 안전한 API 모킹으로 프론트엔드 생산성 높이기

    이번에 우아한형제들 기술 블로그에 "타입 안전한 API 모킹으로 프론트엔드 생산성 높이기"라는 새 글을 발행하게 되었습니다.

    ... 더 보기

    차세대 파이썬 패키지 매니저 uv 소개 영상

    h

    ... 더 보기

    프론트엔드의 역사 with React,Typescript,Next.js

    개발을 아예 모르거나 다른 개발은 알고있지만 프론트엔드와 웹에대한 지식은 없는 분들에게 프론트엔드의 기술스택이 나온 이유를 쉽게 설명하기위해 작성된 글입니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