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콘텐츠 커뮤니티를 위한 플라이휠 모델링]

콘텐츠 제작 장벽이 낮아지면서 개인 창작자의 시대가 열리고 있습니다 그래서 참여자 누구나 콘텐츠를 올릴 수 있고, 콘텐츠를 중심으로 참여자끼리 뭉치는 콘텐츠 커뮤니티 비즈니스도 계속 성장하고 있는데요, 콘텐츠 커뮤니티 비즈니스에서 플라이휠이 어떻게 시작해서 고도화되는지 단계 별로 잘 설명한 글이 있어서 공유해봅니다 1️⃣ 기본 플라이휠 - 가장 먼저 콘텐츠 커뮤니티의 유기적이고 지속가능한 성장 내러티브를 설명할 수 있는 기본 플라이휠(Basic Flywheel)을 설계해야 한다. - 사용자를 획득하고, 콘텐츠 소비, 생산, 그리고 생산된 콘텐츠가 유기적으로 다른 사용자/트래픽을 창출하는 기본적인 흐름의 기본 플라이휠의 핵심 요소는 획득(Acquire), 소비(Consume), 생산(Create), 수확(Harvest)다. 2️⃣ 소비 플라이휠 - 1.0 버전의 기본 플라이휠을 만들었으면, 이번에는 이 중에서 '소비' 활동을 촉진하는 메커니즘을 '소비 플라이휠' 형태로 고안해봐야 한다.    - 콘텐츠 커뮤니티 내에 콘텐츠가 등록된 것만으로 자연스럽게 이용자를 불러들이고 콘텐츠를 소비할 수 있게 하지 않는다. 사업자는 이용자들에게 이용자들이 원하고 필요로 하는 콘텐츠가 있다는 것과 이를 더 많이 소비하도록 적극적으로 설득해야 한다.  - 소비 플라이휠의 핵심요소는 '소비 촉진(Consumption Driver)', '핵심 활동(Verbs)', '개인화(Personalization)', '알람(Notifications)'이다 3️⃣ 생산 플라이휠 - 생산 플라이휠(Creation Flywheel)은 콘텐츠 커뮤니티 비즈니스에서 어떻게 보면 가장 중요한 플라이휠이다. - 유기적으로 지속 가능한 성장을 만들어 내기 위해서는 양질의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콘텐츠의 소비를 독려하는 것보다 콘텐츠의 생산을 독려하는 것이 훨씬 어렵다.   - 생산 플라이휠의 핵심요소는 '탐지(Detect)', '배포(Distribute)', '피드백(Feedback)', '독려(Streak)'이다.

콘텐츠 커뮤니티를 위한 플라이휠 모델링 (Flywheel Modeling for Content Communities )

린스프린트 블로그 (Insights for Startups)

콘텐츠 커뮤니티를 위한 플라이휠 모델링 (Flywheel Modeling for Content Communities )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2년 9월 22일 오전 11:32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