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실력은 진짜일까 가짜일까

10년쯤 전의 이야기입니다. 2012년 2월쯤이었나. 네이버의 이해진 의장님이 이런 말씀을 하신 적이 있습니다. "여러분들 네이버란 간판 떼고 나가서 아무 서비스나 한번 만들어보세요. 몇 명이나 써줄 것 같아요? 10명이나 다운 받아줄까요? 지금 네이버란 간판이 여러분들이 만드는 서비스를 지켜주고 있다는 걸 깨닫게 될 거예요. 못 믿겠으면 나가서 한 번 해보세요. 그게 여러분들 진짜 실력이에요." 가슴이 두근두근 뛰고 약간의 반항심도 들었던 것 같습니다. 저 말이 진짜일까? 아니, 난 잘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이 이야기는 제 가슴에 꽂혀 오랜 시간이 지나도록 잊히지 않았습니다. 회사 다닐 때 이런 생각을 가끔씩 했던 것 같습니다. 내가 회사 다니면서 연봉 1억을 받는다면 사실 내가 회사에 가져다준 가치는 그 이상이야. 적어도 1억 5천은 되겠지. 회사는 내게서 5천만 원을 수수료처럼 떼 가고 있는 거야. 그렇다면 내가 회사를 그만두고 혼자 일한다면 1억 5천 이상을 벌 수 있는 사내가 되겠군. 이런 생각은 이해진 의장님의 말과는 반대였기 때문에 저는 정말 궁금했습니다. 내가 나만의 서비스를 만든다면 결과가 어떨까? 내 실력은 진짜일까 가짜일까. 남이 만든 회사가 아니라 내가 창조해낸 제품으로 단 돈 만원이라도 벌어보고 싶다. 딱 만원만 벌고 실패해도 좋으니 내 진짜 실력이라는 걸 테스트해보고 싶어. 어릴 때 스포츠 선수들이 연봉 때문에 재계약을 안 하고 싸우는 것을 보면 이상했습니다. 돈을 저렇게 많이 받는데 그깟 몇 프로 더 받으려고 저렇게 싸워가면서 뻐팅긴다고? 이런 질문을 어른들에게 하면 어김없이 이런 대답이 돌아왔습니다. "스포츠 선수들은 연봉을 실력으로 생각하는 거야. 자기 실력을 인정받고 싶은 거지." 이제는 조금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 세상에서 진실을 테스트할 수 있는 것 중 돈 만한 게 없다는 걸 깨닫게 되었거든요. 내 음식이 맛있다 맛없다 하는 말은 별로 중요하지 않습니다. 손님들이 지갑을 열어 기꺼이 지불해주는 돈이 진실인 것입니다. 이런 관점으로 바라보면 본인의 연봉이 곧 그 업에서의 실력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저는 결국 궁금증을 풀어냈습니다. 1. 이해진 의장님이 한 말은 사실이었습니다. 제가 만든 앱은 하루에 1명도 설치하지 않은 날들이 많았습니다. 너무 우울해서 독한 술로 슬픈 패배감을 달래곤 했습니다. 마음이 어찌나 쓰린지 맥주 같은 술로는 달래지지 않더군요. 2. 회사에서 수수료를 떼어간다는 제 생각은 옳았습니다. 회사에서 연봉 1억을 받는다면 회사를 그만두면 같은 노력으로 그 이상을 벌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람들이 많이 오해하는 부분은 '같은 노력' 부분인 것 같습니다. 적어도 회사에서 하는 만큼은 일해야 하는데 덜 노력하고 더 벌려고 하니 쉽지가 않습니다. 3. 이 잠재력은 쉽게 발현되지 않습니다. 최소한 1년. 통상 3년 정도는 해봐야 결과가 나옵니다. 10년이 걸릴 수도 있습니다. 사람들은 충분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지만 결과가 나오기 전에 포기합니다. 하지만 이 날 이해진 의장님은 또 한 가지 말씀을 해주셨습니다. "성공은요, 실패하고 실패하다가 더 물러설 곳 없는 마지막 한 걸음에 나오는 거예요." 이 말은 제가 포기하지 않을 수 있게 도와줬습니다. 4. 저는 실력이 있는 사람이었습니다. 이걸 알게 된 것이 가장 큰 소득입니다. 4년의 노력 끝에 드디어 회사 다닐 때의 연봉을 넘어섰습니다. 더 이상 제 자신에 대해 의심하지 않게 된 것이 너무너무 기쁩니다. 저는 스스로의 힘으로 세상에 가치를 만들어 낼 수 있고 돈을 벌 수 있는 존재라는 것을 깨닫게 되니 그제야 평안을 얻게 되었달까요? 더 이상 다른 사람들이 부럽지 않게 되었습니다. 본인이 진짜 얼마짜리 사람인지 알고 싶나요? 회사를 그만두고 혼자서 도전해보는 것만큼 좋은 방법도 없는 것 같습니다. 어쩌면 회사는 자신의 온전한 가치를 드러낼 수 없게 상한선을 막고 있는 존재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합니다. 이 울타리를 깨고 나와야만 자신을 테스트해볼 수 있습니다. 외롭고 고된 길이지만 도전할만한 가치가 있습니다. 이 길은 자기가 누구인지 찾아가는 과정이고 그 열매는 너무 달콤하거든요. 이제야 저는 저를 찾았습니다.

나는 얼마짜리 사람인가?

Brunch Story

나는 얼마짜리 사람인가?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2년 10월 14일 오전 8:06

 • 

저장 35조회 4,275

댓글 3

함께 읽은 게시물

신입, 경력직 회사 생활과 자기 계발에 필요한 것

간단한데 생각보다 사람들이 하지 않는 사소한 습관 1️⃣ 내가 맡은 공식, 비공식 업무 및 서류 기록하기 많은 사람들이 하는 큰 착각은 “다른 사람들이 내가 무슨 일 맡은지 아니까”라며 따로 개인 업무 기록를 안한다. 코드 짜기와 서류 및 보고서 작성하기 등등 결과가 확실한 업무라도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 중에 세세한 코드 변경이나 작성하는 문서가 생긴다. 결과에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모든 서류와 코드는 나중에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곳에 링크를 모아두자. 그리고 가능하면 모든 것을 문서화 하거나, 보여줄 수... 더 보기

 • 

댓글 18 • 저장 506 • 조회 11,645


시니어가 될 수 없는 주니어 개발자의 특징

시니어가 될 수 없는 개발자는 어떤 특징을 갖고 있을까요? 관련 글 읽고 정리하면서 제 생각도 함께 올립니다. 1️⃣ 수동적인 사람 수동적인 개발자는 다른 사람과 팀원이 되어 함께 일할 수 있는 스킬이 부족하다. 다른 사람과 의사소통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결국 좋은 성과를 내지 못한다. 2️⃣ 변화를 거절하는 사람 새로운 일에 도전하지 않고 하던 일만 하고 변화를 싫어하는 사람은 성장하지 않는다. 3️⃣ ‘Ownership’이 없는 사람 많은 개발자가 본인 직무 외에 더 많은 일을 떠맡아서 하기도 한다. 반대로 일부러... 더 보기

5 Junior Programmers Who Never Became Senior

Medium

5 Junior Programmers Who Never Became Senior

 • 

저장 50 • 조회 5,313


사람과 데이터



... 더 보기

신입, 경력직 회사 생활과 자기 계발에 필요한 것 2탄

생각보다 간단하고 회사 생활에 도움 되었던 점 "여러 공식 채널에 올라오는 메시지나 이메일 확인하기“ 1️⃣ 여러 공식 그룹 메시지 채널에는 내가 몰랐던 여러 가지 팀과 회사 상황에 관한 글이 올라온다. 자율성이 크게 주어진 기업 문화라면 서로 간 (프로젝트 간) 대화의 창이 없는 경우가 태반이다. 아는 사람에게만 정보 전달하고, 다른 이해 관계자에게 미처 말해주지 못할 때가 많다. 나에게 관련 없어 보여도 알고 보니 공식 채널에 올라오는 메시지가 내 일과 관련된 때가 생각보다 많다. 이 습관을 갖고 다음과 같은... 더 보기

 • 

댓글 2 • 저장 201 • 조회 8,165


📝 음성 AI를 이용한 채용 인터뷰 실험 논문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