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R] 동아비즈니스리뷰
동아비즈니스리뷰
조직생활을 하면서 상사로부터 피드백을 듣다보면 이게 정말 의미가 있는 피드백인지. 가스라이팅을 해서 나를 자신의 영향력에 굴복시킬려는 것인지 애매한 순간이 찾아옵니다. 동아 비즈니스 리뷰에 의미있는 기사가 나와 공유해봅니다. “우선 당신이 이 상황의 피해자라는 사실을 인지해야 합니다. 그리고 이 상황을 객관적으로 바라봐 줄 수 있는 지인에게 이 사실을 알릴 필요가 있습니다. 상사는 김 대리님에 대한 부정적 평가가 자신만의 생각이 아닌 팀원 전체의 의견이라는 식으로 당신을 압박하고 있습니다. 이럴 때일수록 혼자 끙끙 앓기보다 주변인에게 현재의 상황을 알리는 것이 좋습니다. 타인의 객관적인 의견을 꼭 들어보며 이런 평판을 직접 검증할 필요가 있습니다.” “가스라이팅의 진단 방법을 간단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상대의 방식대로 일이 진행되는 경우입니다. 김 대리님 역시 상사의 요구대로 더 많은 일을 빠르게 수행했습니다. 둘째, 오히려 내가 가스라이팅 가해자에게 잘못한 일이 없는지 스스로 점검하게 되는 경우입니다. 김 대리님도 상사의 의견에 일단 자신부터 탓하며 일에 열중하는 것으로 결론을 내렸죠. 실제 가스라이팅 상황에서는 가해자의 의견에 동조하기 쉽습니다. 즉, 상사의 말이 진실인지 거짓인지 확인하기 전에 그 생각에 동조해 자신을 바꿔야겠다고 결심하고 행동하는 방식으로 가스라이팅이 된 셈입니다. 셋째, 상대에게 본인의 탓으로 느끼게 만드는 말을 듣는 경우입니다. 상사는 회식에서 잘못을 시인하지 않고 “동문이라 챙겨주려고 했던 것이다”라는 말로 김 대리님이 스스로를 더 자책하게 만들었습니다. 가스라이팅의 가장 큰 문제는 소속감과 친밀감 속에서 교묘하게 가해가 이뤄진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피해자가 스스로 피해자라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합니다. 가스라이팅은 특히 친밀한 관계라도 둘이 동등하지 않고 한쪽이 지배적인 입장에 있을 때 가장 많이 일어납니다.“
2022년 10월 19일 오전 6: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