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근마켓이 해외에서 '매너온도'를 없앤 이유

🎈 한 줄 요약 - 글로벌 유저는 36.5도를 어려워 한다. ✔️ 여러분 사람의 신체 온도는 36.5도인 거 다들 아시죠? 아마 한국에 거주하는 분들은 쉽게 이해하고 받아들일 거예요. 하지만 외국에서 살고 있다면 어떨까요? 이 내용을 어렵게 받아들일 수 있지 않을까요? ✔️ 일단 왜 그럴까 생각해보면, 우리는 섭씨라는 온도 표기를 따르지만, 해외에서는 화씨를 사용하는 곳도 많아요. 그래서 36.5도라는 내용이 어색할 수 있죠. 그런 측면에서 당근마켓이 해외에서 매너온도를 30도로 바꿨다고 하네요. ✔️ 좀 더 상세히 살펴보자면, 일단 36.5도를 기준으로 잡은 것에 대해 이해하지 못해요. 한국에서 당근마켓이 36.5도라는 내용을 쉽게 전파하는 반면, 해외는 그렇지 않다는 점이죠. 그래서 다른 문화권에 있는 사람들은 이렇게 생각한다네요. • 내 점수가 36.5점 밖에 안 된다고? • 0도 아니고 50도 아닌 왜 36.5야? ✔️ 즉, 문화적 차이로 인해 36.5도가 사람의 체온으로써, 기본적인 온도임을 인지하지 못하는 상황에 마주하게 돼요. 다음으론 단어의 중복의미에 따른 문화적 이해 차가 발생하는 건데요. 우리는 cool이 안 좋은 측면에서 사용되지만 해외는 그렇지 않아요. • warm-hearted도 좋은 말이지만, cool한 사람도 좋은 사람 아닌가요? ✔️ 쿨은 온도를 나타낼때 쓰이기도 하지만, 형용사로써 충분히 긍정적 의미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이런 문제가 발생했죠. 당근마켓은 이로 인해 매너온도를 포기하고 점수로 바꾸게 돼요. ✔️ 저는 그럼 여기서 한 가지 의문이 들어요. warm-heaeted를 썼으면 반의어로 Cool을 사용하면 안 됐기 때문이죠. 반의어로 등록돼 있는 단어를 사용했으면 해결될 문제이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죠. ✔️ 즉, warm-hearted의 반의어인 cold-hearted를 사용했다면, 이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지 않았나 싶거든요. 그 점에 대해서는 그냥 단순 의문이 들지만, 저는 매너온도라는 당근의 특징을 더 살렸다면 외국인들의 문화적 차를 극복하는 키 아이템이 되지 않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아서요. ✔️ 아 물론, 당근마켓 쪽에서 강한 어조로 나가면 톤앤매너를 흩어버릴 수 있기 때문에 그렇게 진행했다고 생각해요. 또한, 단순히 단어의 차가 아니라, 문화적 차이가 반영된 결과라 다른 시선을 봐야하지 않나라는 점도 충분히 숙지하고 있어요. ☺️ ✔️ 최근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해 대표님도 바뀌고 안팎으로 복잡할텐데,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서비스 중 하나이기 때문에, 저는 항상 응원합니다. 우리 당근마켓 흥해라! 💪

당근마켓이 '매너온도'를 포기한 이유 🥕 | RBBM

REDBUSBAGMAN | 빨간색 광역버스에 백팩을 메고 탑니다

당근마켓이 '매너온도'를 포기한 이유 🥕 | RBBM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2년 12월 6일 오전 8:34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50세 이전에 임원 안되면? 그럼 나가야지! I 대기업 임원 퇴사 이유

    5

    ... 더 보기

    ❶경영진이 인재관리에 충분한 시간과 노력을 기울이지 않음(54%)

    ... 더 보기

    [변화디자이너 허일무의 리더십체인지] 인재육성의 리더십(1)

    데일리경제

    [변화디자이너 허일무의 리더십체인지] 인재육성의 리더십(1)

    ‘명 선수는 명 감독이 될 수 없다’라는 말이 있다. 선수로서 뛰어난 업적을 남긴 사람이 감독이 되었을 때 기대에 못 미치는 경우가 많았기에 생겨난 말이다. 신이라 불리던 디에고 마라도나도 아르헨티나 국가대표 감독을 맡았지만 남아공 월드컵에서 그들 기준에 한참 못 미친 8강에 그쳤다.

    ... 더 보기

    마라도나는 실패하고, 지단은 성공한 이유 - 왜 능력있는 팀원이 좋은 리더는 되기 어려울까?

    패스트캠퍼스 미디어

    마라도나는 실패하고, 지단은 성공한 이유 - 왜 능력있는 팀원이 좋은 리더는 되기 어려울까?

    조회 443


    《23분》

    ... 더 보기

    < 왜 사람들은 과거를 계속 반복할까? >

    1. 미래는 대개 과거를 되풀이하게 마련입니다. 피상적인 변화는 가능하지만, 진정한 변화는 드뭅니다.

    ... 더 보기